[회고를 위한 팁] Agile 개발 조직에서는 retrospective (회고)를 한다. 사실 ‘Agile 조직이라면 회고를 해야만 한다.’ 가 좀 더 맞는 표현일지도 모르겠다. Agile manifesto의 12번째 원칙은 아래와 같다. # At regular intervals, the team reflects on how to become more effective, then tunes and adjusts its behavior accordingly. 즉, 정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되돌아보고 이를 조율하고 적용한다는 것이다. 잘된 점과 부족했던 점, 개선이 필요한 점이 효율적으로 논의되고 다음에 반영된다면, 꼭 Agile 조직의 sprint retrospective가 아니더라도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마친 후 정기적인 회고가 팀과 개인, 앞으로 업무에 모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효율적인 회고를 위한 몇 가지 팁을 소개한다. 1. 편안한 환경/분위기 만들기 2. 회고를 습관화하기 3. 잘된 점에 대해서 꼭 얘기하기 4. 사무실 밖으로 나가보기 5. 회고 이끎이 정하기 6. 회고에 대해 회고하기

6 Tips for Running Better Product Retrospective Meetings

Productplan

6 Tips for Running Better Product Retrospective Meeting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24일 오전 11: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 기능의 일부를 바이브 코딩으로 만들려다가 실패했는데요. 그 중에 하나로 타임존 문제가 있었습니다.‬

    ... 더 보기
    profile picture

    골빈해커

    Chief Maker

    내가 좋아하는 아미고가 예약된 시간에 전화를 걸어줍니다. 아직 베타라 불완전한 면이 많습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앱 다운로드: https://ameego.club 첨부 영상은 지난 달 초에 찍어 둔 영상인데 출시가 이로저로 늦어졌네요. 🥲 계획되어있는 다음 업데이트들도 후딱 해 보겠습니다. 무엇보다 아미고의 성장에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리뷰와 결제🫣🤭)이 필수..☺️ 그럼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Replit 이용 후기

    최근 Repli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