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do it: 싫어하는 말 중 하나

그냥 해서 성공한 적이 거의 없다. 일단 헬스를 끊고 보니 운동을 결국 하지 않았다. 어떤 때는 등록해놓고 한번도 가지 않은 적도 있다. 이 때는 just do it이란 말을 믿었었나보다. 그렇게 운동과 거리가 먼 인생을 살았다. 6개월 전부터 체력을 기르기 위해 매일 푸시업을 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쉽게 튀어나오는 이유지만 이 이유를 온전히 찾고 깊게 새기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었다. 이제는 운동을 좀 더 잘 하기 위해 pt를 받고 있다. 그런데 요새 왜 운동하지라는 고민을 다시 한다. 운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목적을 리마인드하고 리빌드하고 있다. 그래야 더 오래 할 수 있을 것 같고 힘든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을 것 같다. 목적이 분명할 수록 올바르게 do it 할 수 있다. 고민하고 고민해서 do it 하자.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0월 9일 오후 1:0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라클] 실제 환자 데이터분석 / AI 진단예측모델 개발 프로젝트 모집

    I

    ... 더 보기

     • 

    조회 80


    아마존 퇴사와 빅테크 이직 준비

    ... 더 보기

     • 

    댓글 9 • 저장 824 • 조회 23,727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797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