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자의 글쓰기 시리즈 [💢 우리가 아닌, 사용자의 관점에서 표현하기] (👀간단 요약) 📌 노출 화면에 표시한다는 말인데, 업무할 땐 자주 쓰이지만 사용자에겐 어색한 말이다. ✓ (기존사례) 모바일 VIEW 검색결과에 모먼트가 노출됩니다. ✓ (바꿔보면) 이제 모바일 VIEW 검색결과에서 모먼트가 보입니다. ✓ (바꿔보면) 모바일 VIEW 검색 결과에서 모먼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바꿔보면) 모바일 VIEW 검색 결과에서 모먼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영역 화면 안의 특정 부분을 가리키는 말인데, ~영역에 노출됩니다 와 같은 형태로 쓰인다. ✓ (바꿔보면) 해당 영역의 성격에 맞춰 메뉴, 화면 등으로 순화하는게 좋다. 📌 좌상단, 우상단, 최상단 직관적인 말이긴 하지만, 딱딱하기도 하고 업무용으로 더 어울리는 표현이다. ✓ (바꿔보면) 왼쪽 위, 오른쪽 위 등으로 순화할 수 있다. 📌 고도화 역시 업무상 자주 쓰이는 표현인데 사용자, 고객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에도 종종 보인다. ✓ (바꿔보면) 기능 개선, 기능 강화, 새로운 기능 등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 📌 이슈 ✓ (기존사례) IE 프로세스 이슈로 실행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하여 주세요. ✓ (바꿔보면) 사용자에게 이슈란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굳이 이런 표현을 써야할까? (👋중요한 이유가 뭔가요?) 위의 표현들을 보면, 대부분 업무상 필요한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쓰이는 표현들이 많아요. 예를 들어 와이어프레임 제작 시, 화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할 때 "기능 고도화를 위한~"이라는 표현을 쓴다거나, "최상단에 위치 또는 배치 또는 출력"등을 적는 등으로 말이죠. 풀어쓰는 것 보다 명확한 표현을 쓰는 것이 상호간 이해가 빠르기에, 내부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문제는! 이 표현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이와 같은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면 제작 시, 기획자부터 '문구'와 '표현'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와이어프레임을 모두 작성한 뒤 수정하려고 하거나, QA 등을 진행할 때 수정하려고 하면 일정 등에 치여 우선순위가 밀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사용자에게 자주 보여지는 문구나 표현 정도는 기획단에서부터 실제 사용자가 볼 내용이라는 판단하에 우선순위를 높여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디자인 시스템 정도의 가이드가 아니더라도 내부에서 텍스트 가이드라인 정도를 함께 만들어 공유하는 것도 도움이 되고요!

해당 UI는 좌상단에 노출됩니다?

Brunch Story

해당 UI는 좌상단에 노출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19일 오후 11: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더 보기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 모든 시도는 둘 중 하나다. 성공하거나 배우거나 >

    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 더 보기

    [일터의 근육] 컬리 일잘러들의 공통점

    '

    ... 더 보기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Brunch Story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인성 없는 실력자를 대하는 마음가짐

    실력은 갖췄지만 인성이 나간 사람을 만났을 때는 내가 기준을 더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어차피 그 사람보다 실력이 더 좋은 사람은 반드시 있을 거다. 그렇다면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을 두고 인성 터진 사람을 비교당하는 위치에 두면 그 사람이 뭐라고 하든 별로 신경 안 쓰게 된다. 아무리 본인이 독한 말을 뱉어도 그 사람은 인성까지 갖추고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보다 못한 사람이다. 그냥 인성 터진 사람이지. 사실은 본인이 더 잘 알 거다. 실력은 부족한 인성에 대한 알리바이가 되지 않는다.


    챗GPT가 대중적으로 등장해서 화제몰이를 시작했던 2년여전, 얼리어댑터들의 챗GPT 사용행태를 보고 챗GPT에 가장 먼저 큰 영향을 받을 서비스가 검색서비스/포털서비스라고 이야기해왔는데, 이제 그게 현실로 증명된 결과가 나왔다. 챗GPT 계열의 서비스를

    ... 더 보기

    구글 검색 점유율 10년만에 90%붕괴…머스크 “AI가 검색 대체”

    동아일보

    구글 검색 점유율 10년만에 90%붕괴…머스크 “AI가 검색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