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돈 받고 자기 생각을 파는건 옛날부터 존재해 왔다. 이걸 확장하면 그냥 The Economist 되는거다. 한국에서는 김동조 같은 사람이 유료로 글을 팔고 있고 뭐 그런 종류의 블로거들은 이미 2000년대 부터 꽤 많이 존재해 왔다. 근데 갑자기 요즘 외서 뉴스레터에 돈내는게 뭐 큰일이라고 기사까지 나오는지 모르겠다.

Fed맨·석학도 돈내고 본다···美법대생 ‘경제 뉴스레터’ 신드롬

n.news.naver.com

Fed맨·석학도 돈내고 본다···美법대생 ‘경제 뉴스레터’ 신드롬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22일 오전 1: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7 • 조회 1,038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9



    성능 테스트에서 병목현상을 발견하고 해결한 과정

    ... 더 보기

    웹 서버 성능테스트 - 병목 해결을 위한 단계별 테스트

    개발 여정

    웹 서버 성능테스트 - 병목 해결을 위한 단계별 테스트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