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인간적이지 않다는 건 선입견이에요. 리클라이너 의자에서 방송하는 라디오란 의미인데, 거동이 불편하고 외로운 어르신들이 직접 DJ로 활약하는 라디오예요. 신청곡을 접수하면 사연과 함께 소개해 주는데, 요양원에이나 집에서 외롭게 있는 어르신들이 세상과 연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어요.
데이터 분석가로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많은 커피챗, 포트폴리오 리뷰를 진행하면서 많이 받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포트폴리오에 넣는 프로젝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요? 🧐
포트폴리오 속 프로젝트를 어떻게 정리해야 실력 있는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역량을 드러낼 수 있을까요?!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사람입니다.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하고, 비즈니스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지요.
이러한 핵심 역할을 다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가는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데이터 탐색 및 데이터 추출, 가공 → 데이터 분석 → 결과 내용 정리 및 공유(성과지표 확인) → 액션(가설 확인) 및 피드백을 반영’의 순서로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즉, 포트폴리오 속의 프로젝트도 이런 흐름에 맞추어 정리한다면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사고방식과 역량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1️⃣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어떤 문제상황을 인식했는지 이야기합니다.
- 그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어떤 핵심 질문을 만들었고, 어떤 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