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ver Code Considered Harmful
www.joshwcomeau.com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6월 13일 오전 4:09
옛날에는 코드를 짧게 짜는게 실제로 컴터 인스트럭션을 줄여서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었지만, 요즘은 하드웨어도 좋고, 컴파일러도 발전해서 소스레벨에서 짧게 짜는건 의미가 없어졌죠. 저도 가독성 위주로 프로그래밍하는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요새 짧은 코드는 똑똑한 코드가 아니라 이상한 코드죠. ㅋ
@문승욱(카이론) 의견 감사합니다!
코그의 내용은 결과를 알려주죠. 이렇게 하면 이런 결과가 나온다. 하지만 코드엔 왜? Why? 가 없어요. 그래서 저는 주석을 최대한 친절히 달아요. 이렇게 동작할 수 밖에 없는 이유/사연을... 그럼 나중에 리뷰나 수정할때 좀더 낫더라구요.
@시간 좋은 의견/말씀 감사합니다!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좋은 글이네요. 읽기 쉽고 이해하기 좋은 코드만큼 중요한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설픈 추상화나 섣부른 최적화가 읽기 쉬운 코드를 망치는 경우를 많이 봐왔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똑똑한 코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지 않은 것도 아니더라구요. 그런 능력치의 개발자가 만들어 내는 읽기 쉬운 코드는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efore diving into the more challenging levels, spend some time getting comfortable with the controls. Each vehicle in https://drive-mad.org has its own unique handling, so mastering the basics is essential for success.
S
... 더 보기늘 "더 열심히 해라"라는 말을 들으면서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했습니다. 주변에 워낙 치열하게 일하는 분들이 많다 보니, 웬만큼 노력해서는 명함도 못 내미는 경우가 많았죠.
📝 언어모델의 환각(hallucination)은 왜 일어나는가?
OpenAI가 언어모델(LLM)의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환각의 원인을 규명한 최신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최근에 코딩 IDE와 AI 에이전트들이 우후죽순 출시되면서, AI에게 프로젝트에 대한 중요한 정보와 규칙들을 알려주기 위한 방식들도 난립하고 있었는데요. 이것들이 이제 AGENTS.md 로 통일될 것 같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