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documentation
Flutter
플러터(Flutter)는 구글이 2017년에 출시한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프레임워크를 통해 개발자들은 단일 코드베이스로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 macOS, 그리고 웹 브라우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magic)
다음은 플러터의 특징 입니다.
Dart 언어의 사용: 플러터는 구글이 개발한 Dart 언어를 사용합니다. Dart는 자바스크립트 대용품으로 만든 언어라서 자바스크립트와 유사한 문법을 가지고 있어 손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웹개발을 하려면 HTML, CSS, JS를 알아야 하고, ReactNative는 React를 알아야 하지만 플러터는 Dart만 알면 됩니다.
뛰어난 성능: 플러터는 소스코드를 직접 네이티브 CPU 기계 코드로 컴파일됩니다. JavaScript브릿지를 사용하는 리액트 네이티브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모듈화된 위젯 시스템: 플러터는 고도로 모듈화된 위젯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네이티브 요소에 의존적인 리액트 네이티브 보다 플랫폼 간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플러터(Flutter)는 리액트 네이티브(React Native)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코드 푸시(code push)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코드 푸시란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사용자가 앱을 직접 업데이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다만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으나, 'Shorebird'라는 도구를 통해 비슷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에서 코드 푸시 기능이 중요한 요소라면 리액트 네이티브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 친화적인 UI, 빠른 개발 사이클, 그리고 원활한 크로스 플랫폼 지원이 중점이라면 플러터가 더 매력적인 선택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https://docs.flutter.dev/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5일 오전 1:07
앱
... 더 보기오
... 더 보기N
... 더 보기1
... 더 보기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