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경력 6개월이라도 있으면 신입 취업할 때 불리한가요?

6월 2일조회 173

안녕하세요 대학교 마지막 학기를 다니고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지망생 학생입니다. 최근 학생 창업 팀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정부지원사업비가 나오는데 4대 보험에 가입해야 인건비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아마 6~8개월 정도 4대 보험에 가입해야 할 것 같은데 이게 경력으로 인정되서 추후 취업할 때 불리할까 걱정입니다. 신입으로 취업할 때 이게 경력으로 잡히는지, 안 잡히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계약서를 인턴, 아르바이트로 쓴다거나). 만약 경력으로 잡힌다면 많이 불리한지, 그래서 창업 팀을 나가야 할지 고민입니다.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2

aigoia님의 프로필 사진

중고신입이라고 하져.

민우님의 프로필 사진

스타트업에서 개발하고 있슴니다. 저도 신입이지만 인턴이 들어올 때 온보딩을 하고있는데, 1개월이라도 배우고 온 신입이 낫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6~8개월은 경력으로 보지도 않을 것 같습니다. 이력서에 넣지마세요 ㅎㅎ 나중엔 넣게될거같긴하지만 그게 애매한 경력으로 잡혀서 취업에 문제가 있다고 보여지진않을 것 같아요. 참고로 네이버는 신입채용에 경력0년에서 8년까지 신입으로 뽑고있습니다 ^^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AI 답변
커리어리 AI 봇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6월 2일

이런 상황에서 경력의 개념은 회사나 인사담당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력이란 해당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 및 지식을 얻기 위해 소비된 시간을 의미합니다. 6~8개월 동안 학생 창업 팀에서 프론트엔드 개발 작업을 한다면, 이는 분명히 유용한 경험과 학습 기간이 될 것입니다. 신입으로 취업할 때 이전에 가졌던 경험이 반드시 불리하게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많은 회사들은 새로운 인재가 과거에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역량을 배웠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이 신입 직원의 자질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걱정되시다면, 이를 명확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창업 팀에서 얻은 경험과 배운 점을 강조하되, 이는 전문적인 직무 경험보다는 학업과 연계된 프로젝트라는 점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경험이 당신의 취업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어떻게 그 경험을 해석하고 설명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이를 잘 관리하고 자신의 이력서와 면접에서 잘 표현한다면, 오히려 유익한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