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해당 업무가 서비스기획자(PM)의 직무에 해당하는게 맞을까요?

2022년 07월 11일조회 495

안녕하세요, 저는 서비스기획 직무에 관심이 있는 취준 중인 대학생입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해당 업무가 서비스기획에 해당하는 업무일지의 여부입니다. 네이버Z의 ‘서비스 운영’ 체험형 인턴 공고인데요, 제가 그동안 봐왔던 서비스 기획의 업무와 엄청 핏한 느낌은 아니어서 해당 직무라고 봐야 할지 아닐지 궁금합니다. 더불어서, 혹 서비스 기획 업무가 정확히 아니라 하더라도 해당 인턴을 경험해보는 것을 추천하실지도 궁금합니다. 정확히 핏하진 않아도 직무 경험에 있어서 얻어갈 수 있는게 많을까요? (물론 인턴이 붙어야 하긴 하겠지만요!🤣) ⬇️ 담당 업무 - 서비스 운영 팀은 주로 사용자 접점 업무를 수행하며 사용자 및 크리에이터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사용자 문의를 통해 운영 과정엣 발생하는 이슈를 확인하고 관련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 서비스 운영을 고도화 하기 위해 경쟁사 분석 및 시장조사 등 자료 조사 업무를 수행합니다. 자격 요건 및 필요 역량 - 서비스 운영에 사용자가 겪는 문제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분 - 제페토는 물론 디지털 서비스 전반에 대한 이해가 있으신 분 - 적극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로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분 우대 사항 - 데이터 정리와 자료조사 업무를 위해 엑셀 등 컴퓨터 기본 활용 능력을 갖추신 분 -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를 좋아하고 장르를 불문하고 콘텐츠를 즐기는 분 - 가능한 외국어 특기가 있거나 해외 거주 경험이 있으신 분 ⬆️ 귀한 시간 내셔서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3

오영준님의 프로필 사진

기획자/PM의 업무 범위가 워낙 넓어서, 보여주신 job description이 PM의 일이다 아니다라고 딱 잘라 말하긴 어려울 것 같아요. 다만 서비스는 크게 보면 처음에 기획 단계(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도출하는)가 있고 출시 후에 사용자의 목소리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속해서 발전시켜나가는 단계가 있는데요, 이 내용은 후자에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기획자/PM이 하는 일이라고 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그럼에도 서비스 운영 단계에서도 제품에 대해 배울 건 많을 테니 좋은 경험일 것 같네요!

profile picture

익명

작성자

2022년 07월 11일

정말 감사합니다!☺️

삭제된 사용자님의 프로필 사진

삭제된 사용자

2022년 08월 10일

더 좋은 서비스를 위해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포지션이면 가릴 것없이 서비스 기획자로 성장하기 좋은 경험입니다~ 처음에는 이게 맞나 싶겠지만 이런 경험속에서 하나씩 본인걸로 만들어보고 배우면 될 것 같네요~

대니얼 서님의 프로필 사진

기획자라기 보다 운영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회사 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보통은 운영과 기획은 분리가 되어 있습니다. 운영 업무를 경험하다가 기획으로 보직 변경을 하시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인턴이라면 구체적인 목표가 있다는 가정하에 한번쯤 경험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습니다만, 저라면 같은 시간에 확실하게 기획 사이드 인턴을 해볼 덧 같습니다. 고객의 소리를 듣고 정리하는 역할과 실제 서비스로 만들어 내는 역할은 많이 다릅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