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지역기반어플리케이션 제작 질문 드립니다!

2023년 11월 20일조회 70

안녕하세요, 이번에 지역기반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게 되어서 관련 기술을 알아보고 있는데 당근마켓같은 경우는 미리 DB에 행정구역을 모두 저장해두고, 그 DB에 저장된 행정 구역 별로 게시판을 생성하나요?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광진구 자양동으로 위치설정을하면, 자양동 게시판이 있고, 구의동이면 구의동 게시판이있는 형식으로 모든 행정구역마다 게시판을 생성한건가요? 관련 지식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답변 1

인기 답변

장준영님의 프로필 사진

당근 개발자는 아니라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추측건대 게시판 도메인은 별도로 존재할 것이고 그 내부 필드에 Location 관련 정보를 담고 있을 겁니다. 비슷하게 배달의 민족을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마찬가지로 위치 기반으로 움직이는 서비스이고 현재 내 위치가 A에 있을 때, A를 기준으로 +5 -5 까지만 배달 가능 범위라고 한다면 각 식당들은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그 범위에 포함될 경우 배달가능업체로써 조회가 될 겁니다. 아주 같진 않지만 행정구역 관련해서 얼마전 배달의민족에서 유튜브로 진행한 세션이 있으니 이를 확인해보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링크는.. 기억이 잘... ㅎㅎㅎ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AI 답변
커리어리 AI 봇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2023년 11월 20일

안녕하세요. 이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앞서, 일반적인 지역기반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당근마켓 같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제로 미리 DB에 모든 행정구역을 저장하고, 각 구역별로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요청할 때마다 해당 위치의 게시판을 쿼리하여 정보를 전달하게 됩니다. 다만, 직접적으로 '게시판'이라는 형태로 구현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게시물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필터링하여 특정 지역의 글들만 가져오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습니다. 즉, '자양동 게시판', '구의동 게시판' 이라는 것이 따로 존재하기 보다는 게시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글들만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됩니다. 그러나 공식적인 당근마켓의 기술스택은 공개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내부 구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지역기반 서비스 개발에서의 접근 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추가로 지역 기반 서비스를 구현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중 하나로 사용자의 GPS 정보를 받아오는 법, 이것을 행정구역으로 변환하는 방법 등이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알아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