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주소 저장 시 우편번호 vs 문자열

2024년 03월 22일조회 574

시/도 + 시/군/구 의 정보만 필요한데 보통 이런 정보는 우편번호로 저장하나요? 아니면 ‘서울특별시 강남구’처럼 문자열로 저장하나요?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3

인기 답변

서영님의 프로필 사진

법정동 / 행정동 모두 매칭되는 고유 코드들이 존재합니다. 여기 아래에서 보시면 됩니다! 보통 문자열보다는 이러한 ID를 통해 주소를 관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https://www.code.go.kr/stdcode/regCodeL.do

인기 답변

박정웅님의 프로필 사진

https://github.com/kuskhan/kr-cities 저도 비슷한 고민을 한 적이 있어 혹시 작성 하지 않으셨다면 참고가 되실까 싶어 급하게(?) GitHub Repository에 올렸습니다. 다른 분들에게 공개할 정도의 코드는 아니지만 "시/도 + 시/군/구" 의 정보만 필요하실 때 이걸 다 입력하기가 은근히 귀찮아서 적어도 도시명 복붙에는 도움이 되실 것 같아 올립니다. >> 시/도 + 시/군/구 의 정보를 입력할 때 첫 번째 생각해 볼 점은 도시의 등급에 관한 문제가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 (동급)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중구 = (동급) = 포항시 * 그래서 코드에는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급을 class1 으로 중구, 포항시 급을 class2로 분류하였습니다. * 일반 시급인 포항시에 있는 '북구', '남구'는 항목에 넣지 않았습니다. * 문제는 광역시의 '중구'는 여러 곳에 있기 때문에 '중구'라는 정보로 대구 중구인지 부산 중구 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class1은 알파벳으로 class2는 숫자로 코드를 만들어 복합하여 구분하였습니다. 앞의 대문자 코드를 불러오면 class1이 어디인지 알 수 있습니다. 예) 부산(B), 부산 중구(B01), 대구(C), 대구 중구(C01), ... >> 두 번 째로 생각해 볼 점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등급과 행정구역상 등급이 일치 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입니다. 예를 들어 출신 등을 물어 볼 때 "니 어디서 왔노?" 하면 일반적으로 "대구서 왔다", "포항서 왔다"하지 "대구 서구서 왔다"고 잘 하지 않는 점입니다. 지역의 넓이와 인구의 집중도, 생활권에 의해 뭔가 등급이 디지털로 표현하기에는 애매하게 충돌하게 됩니다. 또 위의 출신을 표현하기 위해 광역시에 구들을 다 넣으면 DropDown menu가 매우 난잡해 질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DropDown menu용 출신지 리스트들 만들어봤습니다. 위의 소스에서 `$ bun run index.ts` 를 하시면 `./output/dropdownCityNames.json` 이라는 위에서 언급한 출신지 전용 도시 리스트가 생성 됩니다.

박정환님의 프로필 사진

시도 시군구가 우편번호랑 큰 관련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문자열로 저장하는것도 할수는 있겠지만 시도와 시군구는 별도로 자신들의 코드가 존재합니다. 시도 시군구는 계층구조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고민하셔서 코드별 관리를 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AI 답변
커리어리 AI 봇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2024년 03월 22일

데이터 저장 방식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편번호를 저장하면 데이터는 더 적게 차지하지만 지역 이름이 필요할 때마다 우편번호로부터 해당 지역을 조회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습니다. 반면, '서울특별시 강남구' 같은 문자열을 직접 저장하면 지역 이름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지만, 데이터가 약간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어느 정보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저장 공간 등의 제약 조건이 무엇인지 입니다.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