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부트 캠프 이후, 로드맵 고민입니다.

2024년 11월 22일조회 332

안녕하세요, 삼성청년SW아카데미 11기 Python 비전공반 출신 개발자입니다. 업계에서는 실력있는 머신러닝 엔지니어를 원해, 제가 교육동안 AI 모델을 서비스에 적용시키는 수준으로는 취업이 많이 어려워, 진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YOLO 모델 사용, Spring-FastAPI 통신 등) 입사를 희망한다면, 머신 비전쪽을 희망합니다. 웹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론트엔드의 레이아웃 디자인이나 동적 컴포넌트등으로 다양한 경험을 선보일 수 있는 부분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희망했습니다. 수료가 곧이고, 하반기 인턴 및 채용공고를 바라보며, 꾸준히 성장하고 싶은 마음과 취업에 대한 압박때문에 질문글을 작성해봅니다. 제 개인적 성장도 원하지만, 20대 후반에 접어들며 현재는 취업이 우선이라고 생각돠어 글 남깁니다. 현직자님들의 현실적인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답변 1

백승윤님의 프로필 사진

안녕하세요! AI 스타트업에서 ML Engineer로 일하고 있는 백승윤이라고 합니다. Computer Vision 쪽에 관심이 있으시군요! ML Engineer가 되고 싶으신 거라면, YOLO와 같은 기존에 잘 배포된 모델을 가져다 쓰는 것 이상으로 몇 번 정도는 직접 모델 학습을 경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모델이어도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적용하려면,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할 수 있거든요. 학습이 필요하지 않다고 해도 모델 학습을 해보시면 그 과정 속에서 모델의 원리를 더 깊게 파악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박민철님의 프로필 사진

박민철

작성자

비전 인공지능 개발자2024년 11월 24일

프론트엔드 웹 개발자, ML 엔지니어로 성장하냐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모델링에 대한 학습을 조언해주셨네요. 제가 ML 엔지니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논문이나 기존 모델을 재구현하는 방식이 기업 입사에 도움이 된다고 들었습니다. 저 또한,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ML 엔지니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제 컴퓨팅 자원이 되는 한, 논문 등을 참조해서 재구현을 여러 번 해보는게 알맞을까요? 현실적으로 어떤게 취업으로 빨리 이어질지 의견 여쭤보고 싶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키워드로 질문 모아보기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