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안녕하세요. GCP로 인스턴스를(리눅스)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목적은 데이터 분석용이구요. 처음 가상머신을 만들었을때 사용하고 종료하고 다음날 다시 시작하니 SSH로 들어가려하면 포트22에 접속할 수 없다고 나왔습니다. 초반에는 데이터도 별로없고 그냥 인스턴스 새로 만들어서 사용했고, 종료하지않은 상태로 쭉 썼습니다. 1년정도 사용했는데 오늘 disk용량 추가한다고 잠깐 껐더니 또 접속이 안되네요ㅠㅠ 1년치 데이터에 파이썬 패키지… R패키지… 너무 많아서 어떻게든 살려서 쓰고싶습니다.. 방화벽은 포트22 물론 있구요… 회사에서 컴퓨터 새로 사면 전산팀에 IP 부여받아야 인터넷 사용이 되는데 혹시 가상머신도 그런게 적용되나요? 그럼 전산팀에 가상머신에 IP달라고 하면 될까요?ㅠㅠ SSH버튼 누르면 코드4003과 함께 proxy어쩌구…가 나오고 vpc proxy없이 연결을 누르면 포트22에 접속할수없다고 나옵니다. 문제해결 눌러보면 인스턴스 상태, 네트워크, 사용자권한 모두 문제없습니다! 주변에 전공자가 한명도 없어서 구글링만 하루종일 하다가 도움청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3
안녕하세요! GCP를 많이 써보지는 않았지만 흔한 이슈인것 같네요.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 링크 남깁니다! https://cloud.google.com/compute/docs/troubleshooting/troubleshooting-ssh?hl=ko#console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내용이 제가 이해하는 GCP라면 생성한 인스턴스는 사내망과는 연관이 없는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전산팀에 IP 요청은 하실필요가 없으실 것 같습니다. 외부에서 SSH 툴을 이용하여 접속하는게 아닌 GCP 브라우저안에서 SSH 버튼 클릭이 안되는 경우 GCP안에서의 문제로 보여 이전 답글 달아주신 분께서 언급해주신 페이지를 참조하여 조치하셔야할 것 같아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