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O/기획자
현재 소프트웨어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It계열에서 기획을 하고싶은데 유튜브에서는 대략적으로 개발자나 디자이너로 경력을 쌓아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경험을 하고 포폴로 도전을 하라고 하십니다. 나중에 자바/스프링 백엔드 개발자로 커리어 쌓다가 (최소 2~3년) Pm으로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Pm으로써 역량으로는 1. 문제정의 2. 커뮤니케이션 3. 우선순위 선정 4. 데이터 분석 이라고하십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심하고 낯가리는 성격인데 적성이 맞을지 2. 지방사립대 출신도 대기업 pm이 될수있는지 3. 개발자 커리어를 쌓은 후 마케팅 대학원을 다닐생각인데 이게 도움이 되는일 일지? 4.pm 관련되서 커뮤니티나 더 자세하게 알아볼수있는 사이트가 있는가? 입니다.
답변 2
음 하나의 직무라 낯가리고 소심한 성격은 큰 문제가 되진 않을 것 같아요! 당연히 지방 사립대도 대기업의 PM이 될 수 있습니다. 개발자 커리어와 마케팅 대학원이 PM 직무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어요. 이 부분은 커피챗 등을 통해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PM에 대해 궁금한 것들 있으시면 저도 커피챗 가능하니 아래 참고 하세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maily.so/marcus.lee 유튜브 구독하기 : www.youtube.com/@LbyD_HJ?sub_confirmation=1 커피챗 및 멘토링 신청하기 : https://inf.run/GRTee 팀 코칭 신청하기 : https://open.kakao.com/o/sh47Hq4g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1월 27일
1. 소심하고 낯가림이 있더라도 PM(Pm, Project Manager) 또는 PO(Product Owner) 능력은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은 연습과 경험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많은 소프트 스킬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지방사립대 출신이더라도 대기업 PM이 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대체로 학력보다 실제 기술과 경험을 더 중요시합니다. 그러나 대기업에 따라서는 일정 수준의 학력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특정 회사의 채용 공고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3. 개발자 커리어를 쌓은 후 마케팅 전공의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와 고객 사이드에서의 시각을 배울 수 있고, 이것은 PM/PO 역할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4. PM 관련 커뮤니티 및 사이트 : - Product School: 제품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리소스와 교육을 제공합니다. - Mind the Product: 글로벌 기획자 커뮤니티로, 다양한 블로그 게시물과 행사, 워크샵 등을 제공합니다. - PM Happy Hour: 기획에 초점을 맞춘 팟캐스트입니다. - Medium의 Product Management 태그 검색 : 많은 PM들이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필요한 스킬과 준비를 갖추면 누구나 좋은 PM/PO가 될 수 있습니다. 학습 의지와 끊임없는 성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와 리소스는 인터넷에 널려 있습니다. 성공적인 경력 전환을 바랍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