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달 전 · Learning by Doing 님의 새로운 답변
Po 과제전형 진행중에 모르겠는 부분
Po 과제전형을 진행중에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질문 남겨요.. 해결해야 할 지표?(ex.회원가입 전환)는 정해져있고, 이에 대해 배경-문제인식-문제정의-가설-지표 이렇게 제안을 해야하는데요, 배경- 문제인식-문제정의 이 부분을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는지, 잘 작성하고 있는지 조차 잘 모르겠어요. 배경의 경우 뉴스,논문 찾아보며 문제 인식,정의와 연결시키면 될까요? PO는 정량,정성 데이터를 보고 문제인식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부 데이터가 없으니, 앞단을 어떻게 설계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PM/PO/기획자
#취업
#취준
#과제전형
#과제
#po
답변 1
댓글 0
조회 143
7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프로덕트 디자이너 클래스 수강생 모집합니다!
도프디 신청하기 👉 https://swooparupa.framer.website/pdchallenge 단순히 분석 단계에서 그치지 않고 문제 해결자(Problem solver)가 될래요. 문제를 직접 발견하고 주도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되기까지. 진심으로 성장하고 싶은 분들만 신청하세요. 도프디, 어떤 곳인가요?🙋♂️ -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서로 자극받으며 프로덕트 그리고 디자인에 대해 고민하고 성장하는 곳이에요. - 이곳에서는 화려한 이력이 중요하지 않아요. 다만,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와 배워서 남주는 것을 좋아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해요. - 자유로운 피드백을 통해 건강한 성장을 지향해요. 확증편향을 갖고 자신의 신념과 다른 정보를 무시하거나 비난하지 않아요. 이런 점이 좋아요!🥰 -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일하는 방식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어요. - 100% 실무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과 서비스에 대해 깊게 고민해 볼 수 있어요. - 같은 문제를 가지고 나와 다른 다양한 관점의 문제 해결 방식을 확인해 볼 수 있어요. - 매주 제공되는 챌린지를 활용하여 본인 블로그 혹은 브런치 콘텐츠로 활용해 보세요. - 블로그와 브런치가 없다면 이참에 개설해 보세요. 반드시 좋은 기회가 생길 거예요. 이런 분들 너무 반가워요!🤝 - 프로덕트 디자이너 직무로 취업 혹은 이직을 원해요. -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실무에서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고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가 필요해요. - 다양한 업계 사람들과 지속 가능한 네트워킹을 하고 싶어요. 이런 것들을 함께 해요!👨👩👦👦 - 매주 월요일 모더레이터가 하나의 서비스의 가상 데이터 혹은 내/외부 피드백(VOC)을 통해 프로젝트 배경을 제공해요. - 해당 배경을 통해 토요일 23:59까지 가설 정의부터 문제 해결 방식을 공유해요. - 문제에 따라 시각화 작업물이 필요하다면, 시각화 작업물까지 공유해요. - 문제 해결 시, 개선 전(AS-IS)과 개선 후(TO-BE)를 확인할 수 있다면 매우 좋아요. - 도프디원들이 공유한 작업물을 보며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요. 이곳에서는 틀린 것은 없고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의 관점을 배우고 성장해요. 학습이 습관이 될 수 있도록 밀착 관리해요!💪 - 모든 공유글에 모더레이터가 실제 현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드백과 질문을 드려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논리가 더욱 날카로워 질 수 있어요. - 챌린지를 진행하지 않고 다른 도프디원들의 작업물만 가져가는 행위를 방지하고자 참여율이 떨어지는 분들은 함께할 수 없어요. (진심으로 성장하고 싶은 분들만 신청하세요) 월회비는 어떻게 쓰이나요?👻 - 커뮤니티가 지속 가능하고 발전하는 데에 쓰일 예정이에요. - 업계에서 영감을 주실 수 있는 분들을 초빙하여 무료 강연을 한다든지, 감명 깊게 본 책이나 강의를 선물 해드린다든지 다양한 이벤트를 기대해 주세요. 도프디 신청하기 👉 https://swooparupa.framer.website/pdchallenge
디자이너
#디자이너
#디자인
#ux/ui
#프로덕트디자인
#ux디자인
답변 0
댓글 0
조회 53
10달 전 · 𝙍𝙞𝙘𝙝𝙖𝙧𝙙 님의 새로운 답변
데이터분석 세부 직무에 대한 고민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데이터 분석 직무를 목표로 하고 있는 수학 전공 및 소프트웨어 공학 복수 전공 3학년 학생입니다. R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데이터 분석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통계적 방법론을 배워 데이터 분석에 접근하고자 수학과로 전과하여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분석 직무가 생각보다 매우 넓다는 것을 알게 되어 세부적인 직무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연합 동아리 활동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선배들로부터 "자신이 데이터를 가지고 하고 싶은 일을 명확히 알아야 한다"는 조언을 많이 받았습니다. 최근 대시보드 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가설 설정 및 퍼널 분석에 큰 재미를 느꼈지만, 유저별 추천 시스템 모델을 구축하는 딥러닝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데이터 분석 직무의 JD를 찾아보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S), 데이터 분석가(DA), 프로젝트 매니저(PM) 등 해각각 요구하는 사항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에 따라 저는 어느 직무를 선택해야 할지, 각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1. 데이터 분석 직무 중 DS, DA, PM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각 직무별로 요구되는 주요 기술 및 역량은 무엇인가요? 3. 저와 같은 상황에서 어떤 방향으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4. 직무를 선택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유의할 점이나 추천해주실 자료가 있나요? 경험과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데이터분석
#취업고민
#현직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269
3년 전 · 노승범 님의 새로운 답변
새로운 서비스의 가설 검증의 기준?
린스타트업에서는 '가설을 세우고 제품을 만들어서 실험하고 학습'하라고 말합니다. 예를들어 배달의 민족이 '사람들이 앱으로 배달을 시켜 먹을 것이다' 라고 가설을 설정했고, 실제로 앱을 만들어서 배포해보니, 1달동안 1000명 정도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졌다고 합시다. 그럼 배달의 민족은 가설을 통해 사업성을 검증했다고 볼 수 있나요? 가설 검증의 기준을 뭘로 세워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5
조회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