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www.youtube.com
프로그래머로써의 커리어를 거치면서 한계에 부딪혔던 때가 두 번 있었는데, 첫번째는 공간축(z)을 다뤄야 할 때, 두번째는 시간축을 다뤄야 할 때였다. 그리고 지금 생각하면 둘 다 행렬과 미분이면 쉽게 해결 할 수 있었다.
그래서, 프로그래밍을 잘 하려면 수학과 물리가 중요하다라는 걸, 해 보고 알게된 멍청한 인간이라서 청소년들이 프로그래머 하고 싶다면 국영수 열심히 하라 한다.
아, 근데..다시 생각해보니.. 이젠 이런거야말로 GPT가 알아서 해 줄거 같은데..(…)
그..그래도 AI가 하는 말을 알아들어야 AI한테 지배받지 않을테니 국영수는 중요하다!
#기승전AI #스카이넷님사랑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30일 오후 4:57
앞으로의 코테는 설명을 주고 코드를 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주고 설명을 하라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내 경우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요구사항을 주고 개발을 요청. 결과물이 요구사항대로 개발이 잘 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제출한 코드를 리뷰하며 설명을 요청한다.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