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www.folin.co
프로그래머로써의 커리어를 거치면서 한계에 부딪혔던 때가 두 번 있었는데, 첫번째는 공간축(z)을 다뤄야 할 때, 두번째는 시간축을 다뤄야 할 때였다. 그리고 지금 생각하면 둘 다 행렬과 미분이면 쉽게 해결 할 수 있었다.
그래서, 프로그래밍을 잘 하려면 수학과 물리가 중요하다라는 걸, 해 보고 알게된 멍청한 인간이라서 청소년들이 프로그래머 하고 싶다면 국영수 열심히 하라 한다.
아, 근데..다시 생각해보니.. 이젠 이런거야말로 GPT가 알아서 해 줄거 같은데..(…)
그..그래도 AI가 하는 말을 알아들어야 AI한테 지배받지 않을테니 국영수는 중요하다!
#기승전AI #스카이넷님사랑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30일 오후 4:57
문제 정의는 UX 포폴의 처음이자 끝입니다.
... 더 보기개
... 더 보기자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