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로써의 커리어를 거치면서 한계에 부딪혔던 때가 두 번 있었는데, 첫번째는 공간축(z)을 다뤄야 할 때, 두번째는 시간축을 다뤄야 할 때였다. 그리고 지금 생각하면 둘 다 행렬과 미분이면 쉽게 해결 할 수 있었다.


그래서, 프로그래밍을 잘 하려면 수학과 물리가 중요하다라는 걸, 해 보고 알게된 멍청한 인간이라서 청소년들이 프로그래머 하고 싶다면 국영수 열심히 하라 한다.


아, 근데..다시 생각해보니.. 이젠 이런거야말로 GPT가 알아서 해 줄거 같은데..(…)


그..그래도 AI가 하는 말을 알아들어야 AI한테 지배받지 않을테니 국영수는 중요하다!


#기승전AI #스카이넷님사랑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30일 오후 4: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알쏭달쏭 포폴 속 문제정의.. 그거 어떻게 하는거죠?>

    문제 정의는 UX 포폴의 처음이자 끝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3 • 조회 611


    《디자인하는 사람이라면 '수단과 목적을 헷갈리지 말자'》

    ... 더 보기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www.folin.co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 개발자가 글을 써야 하는 이유

    ... 더 보기

    Why Engineers Need To Write

    www.developing.dev

    Why Engineers Need To Write

     • 

    저장 60 • 조회 8,138


    [책]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삶, '노인과 바다'

    ... 더 보기

    [책]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삶, '노인과 바다'

    Brunch Story

    [책]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삶, '노인과 바다'

    조회 943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MCP 가이드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2,222


    저렴하고 빠르게 좋은소프트웨어 만들기

    ... 더 보기

    WEBNORI

    wiki.webnori.com

    WEBN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