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쯤 Google이 온라인 IDE를 만들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이번에 공개 베타로 오픈되어서 대기할 필요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IDE는 계속 시도가 있었지만 제대로 자리 잡은 IDE는 없었다고 보지만 그래도 VS Code가 나온 뒤로 웹 기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이를 이용한 GitHub Codespace가 가장 나은 환경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써보면 로컬과 아주 큰 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각 프로젝트의 환경을 잘 설정해 주면 새로운 사람도 몇분만에 개발 환경을 꾸릴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하지만 또 개개인의 설정도 있고 이런 부분의 관리가 필요하기도 한데다가 개발자의 로컬 환경은 꽤 성능이 좋아서 뛰어 넘을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AI는 어차피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는 면에서 온라인 IDE에 대한 접근이 바꿔놓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Project IDX도 VS Code 기반이지만 Google이 AI가 코드를 자동완성해주거나 주석으로 코드 제안을 하거나 코드에 대해서 채팅으로 대화 나눌 수 있는 등 Gemini 모델로 AI 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Google 만들었기 때문에 Google 클라우드 제품과 쉽게 통합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다른 분들은 온라인 IDE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https://idx.dev/blog/article/start-building-with-project-idx-today

Start building with Project IDX!

Idx

Start building with Project IDX!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6일 오후 5:19

 • 

저장 24조회 3,300

댓글 3

함께 읽은 게시물

[Dev.to] 2025년에 주목해야 할 최고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

... 더 보기

Top Open Source Projects to Watch in 2025

DEV Community

Top Open Source Projects to Watch in 2025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