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개발 프로세스는?>

커리어리 친구들, 새로운 생성형 AI 패러다임에서의 개발 프로세스는 과거와는 상당히 다른데요, 전체적인 개념을 보면 일단 생성형 AI 모델(하나 또는 여러 개)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프롬프트를 만지작거리고(이것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고 하는데, 실제 엔지니어들에게는 기분 나쁜 표현), 초매개변수를 조절해서 모델이 원하는 대로 작동하도록 합니다. 그래서 생성형 AI 개발 프로세스가 어떻게 되는 지 한눈에 살펴 볼 수 있어서 이 컬럼을 추천합니다.

원문보기:
https://www.itworld.co.kr/news/337110#csidx18cbdc71a9f503494989ba2f291b511


https://www.itworld.co.kr/news/337110


생성형 AI의 개발 프로세스 이해하기

ITWorld

생성형 AI의 개발 프로세스 이해하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8일 오전 6: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강의 오픈

    또 하나의 강의를 오픈했습니다. 누구나 탄탄하고 효율적인 고성능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래밍 언어, Rust를 배우는 강의입니다. 로우레벨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으면서도 하이레벨 언어기능이 풍부하여 이상적입니다. https://inf.run/LPYW 호기심에 공부를 시작했다가, 이내 빠져들어서, 개인 사이드프로젝트 용도로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너무 마음에 들어서 강의로 만들게 되었네요. 언어 기능으로는 함수형 언어로 부를 수 있을 만큼 고급 기능이 많이 들어있... 더 보기

    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 인프런 | 강의

    인프런

    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 인프런 | 강의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8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

    [오라클] 실제 환자 데이터분석 / AI 진단예측모델 개발 프로젝트 모집

    I

    ... 더 보기

     • 

    조회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