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Create React App 지원 종료
www.harimkim.com
최근 LLM에게 여러 응답을 받아 그것을 취합하는 방식의 기법이 상당히 각광받고 있는데요. 대부분은 투표 절차를 통해 결과를 선택하는 방식이었는데, MoA는 결과를 취합하여 최종 응답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MoA는 다음의 세 단계의 프롬프트 체이닝을 사용하는데요.
1️⃣ 사용자의 프롬프트에 대해 3개의 후보 응답을 생성합니다.
2️⃣ 각 후보 응답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추론합니다.
3️⃣ 원래 입력, 후보 응답들, 그리고 추론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응답을 생성합니다.
프롬프트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Prompt 1: [사용자 입력]에 대해 3가지 다른 관점에서 답변을 생성하세요.
Prompt 2: 앞서 생성된 3가지 후보 응답에 대해 각각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어떤 점에서 유용하거나 부족한지 설명하세요.
Prompt 3: 원래 사용자의 질문, 3가지 후보 응답, 그리고 각 응답에 대한 분석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하고 포괄적인 최종 응답을 생성하세요.
이러한 방식을 통해 높은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었고, 특히 챗봇 응답에서 인간 평가자에게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방식을 통한 결과물을 학습데이터로 삼아 작은 모델을 파인튜닝을 하면 높은 성능 향상을 보일 수 있었다는 것 입니다.
이제 어느정도 수준의 LLM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되었지만,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를 얻기는 여전히 쉽지 않은데요. 이를 잘 활용하면 충분히 좋은 수준의 커스텀 LLM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22일 오전 3:00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강의 및 책 추천 영상 강의 📽️👉 https://fastcampus.co.kr/data_red_golbin 도서 베스트셀러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362002
@골빈해커 AI기술의 발전과 활용에 있어서..그 기술적인 부분..효율성? 등 에만 집중하기보다는..요즘 AI기술의 잘못된 활용과 그 예상치 못한 피해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보다 인간적인?AI..인간과 함께 세상을 더욱 이롭게 하는 방향의 AI의 성장이 이뤄지도록 하는..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GPT-4.5 출시 후 GPT-4o의 성능이 빠르게 좋아지고 있음. GPT-4.5로 GPT-4o를 튜닝하면서 성능을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음. GPT-4o 수준의 파인튜닝 속도가 진짜 빠르다는 것이 놀라움. 이것이 OpenAI의 최대 강점일 수도.
C
... 더 보기Q) 🙋♀️ 데이터를 활용해 UX를 개선했다는 걸 잘 보여주고 싶어요. 포폴에서 어떤 식으로 서술하면 좋을까요? (예비 디자이너 분)
... 더 보기MCP는 기술적으로는 거의 순수하게 Function Calling의 Thin Wrapper에 불과함.
다만, 현재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Function Calling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라, LLM에 Function Calling을 주입할 수 있는 서버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했던 것이 MCP를 확산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를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