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에서 테스트 코드가 필요한가? 에 대해서
아래 몇가지 경우에는, 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1. 복잡하지만, 잘 변하지 않을 비즈니스 로직
주석이 필요할 정도로 복잡하지만, 사업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도 잘 변하지 않을 것 같은 로직들에 대해서는
유닛 테스트를 적용하는 것이 유지 보수에 유리할 수 있어요.

예시) 최대 최소 금액 설정 값들이 연관되어 있을 때
validation 로직에 대한 유닛 테스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2. 헷갈리기 쉽지만, 잘 변하지 않을 UX
직관적이지 않지만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하는 UX 의 경우,
UI 동작을 확인하는 코드로 e2e 테스트를 구성했을 때
유지 보수에 도움이 되었어요.

예시) 버튼을 눌러야만 validation 을 시작하는 input 컴포넌트는
e2e 테스트를 적용하면 안전한 리팩토링이 가능합니다.

프론트엔드에서는 특히 요구사항이 자주 변하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데요.
여러분은 프론트엔드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신 경험이 있나요?
어떤 경우에 테스트 코드가 도움이 되었나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9일 오후 1:06

 • 

저장 2조회 1,17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 더 보기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taetaetae.github.io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 

    댓글 1 • 저장 9 • 조회 2,162


    업스테이지에서 추론 기능을 가진 Solar Pro2 출시. 프론티어 모델에 근접한 수준으로 한국 기업 중 최고 수준.

    ... 더 보기

    조회 464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성장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개발자 생활

    저런 개발자 생활도 한적이 있어서 다양한 생각이 든다.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요즘IT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