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동료를 얻는 것은 직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좋은 일의 하나다. 직장에서 우리가 보내는 모든 시간을 생각해 보자. 의지할 수 있는 사람, 하루를 즐겁게 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모든 게 더 쉬워질 것이다.


물론 직장을 즐겁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요소들도 있지만, 좋은 동료는 그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먼저 자신이 훌륭한 동료가 될만한 능력과 태도를 갖추고 있는지 자문해보자. 사회적 교류는 호혜로 인해 작동한다.


즉, 우리가 타인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따라 그들이 우리를 대하는 방식이 결정된다. 사람들에게 좋은 동료가 된다는 건 곁에 있어 주고, 세심하며, 좋은 영향력을 갖는 걸 의미한다. 그렇다면 지지해주는 좋은 동료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모든 것의 기초인 존중

위대한 동료는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법을 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들을 바꾸려고 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인정함을 의미한다. 존중은 또한 배려와 친절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이다.


2️⃣사용 가능한 자원의 공유

직장에서는 자원을 공유해야 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는 가장 흔한 갈등의 원인 중 하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모든 사람이 이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만들어야 한다. 그 자원을 언제 사용할지 아는 것과 동시에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단호하게 행동해야 한다.


3️⃣필요할 때 가이드라인 제공하기

모든 사람은 문제를 해결하기 직장에서 적어도 한 번은 도움을 요청한다. 그리고 이때 좋은 동료는 기꺼이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준다. 이는 다른 사람의 일을 대신 해주는 게 아니다. 대신 그들에게 필요한 요소, 도구 또는 개념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4️⃣다른 동료 지원하기

직장에서 힘든 시기를 겪는 건 정상이다. 그리고 그 순간 동료의 지원을 받는 건 진정한 축복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동료의 테라피스트가 되라는 건 아니다. 대신 그들이 화가 났을 때 이해해주고 귀를 기울여주거나, 그들이 동기가 없다고 느낄 때 격려해주는 게 중요하다. 작은 행동으로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5️⃣다른 사람의 실수 받아들이기

우리는 모두 인간이므로 어느 시점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다. 이때 나쁜 동료는 그 동료가 일을 잘 수행하지 못한 순간을 계기로 동료를 부끄럽게 하거나 동료에게 이것저것 지적을 하려고 할 것이다. 반면 좋은 동료는 다른 사람이 실수를 저지르는 게 일반적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움을 줄 것이다.


6️⃣듣는 법 배우기

동료의 말에 귀 기울이는 법을 아는 건 그들이 말하는 내용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뜻이다. 그리고 우리는 반드시 그 내용을 처리하고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과 연결해야 한다. 또 듣는다는 건 상대방을 배려하고 그들을 말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뜻한다. 잘 듣는 사람은 열려 있으며 일반적으로 좋은 의사소통을 한다.


7️⃣대화로 충돌에 맞서기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화하는 건 직장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우리가 팀의 일원일 때 매우 건설적인 기술이 아닐 수 없다. 무언가 방해가 될 경우 침묵만 지키는 건 좋지 않다. 하지만 그 문제를 크게 부풀리는 것도 상황을 악화한다. 이렇게 하는 대신 침착함을 유지하고 직접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8️⃣더 숙련된 동료로부터 배우기

많은 사람은 동료가 자신보다 많은 걸 알고 있다는 사실을 반가워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현명한 태도가 아니다. 실제로는 자신보다 더 많은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게 마음을 여는 게 더 합리적이다. 그들이 하는 말을 잘 듣고 전문적으로 성장할 기회로 삼자.


9️⃣경쟁하는 대신 협력하기

협력한다는 건 팀으로 평등한 조건에서 일하고,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동료와 경쟁하려 한다면, 다른 사람보다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개인 목표에만 집중하게 되고 적대적인 근무 환경이 조성된다. 이 유명한 속담을 기억하자. “빨리 가고 싶다면 혼자 가라. 멀리 가고 싶다면 함께 가라.”


🔟동료의 업적 인정하기

자존감이 낮고 불안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업적을 인정하기 어려워한다. 그러나 좋은 동료는 동료가 달성한 것을 소중히 생각하므로 즐거운 직장 환경을 조성한다.

좋은 동료가 되는 10가지 단계

Wonderful Mind

좋은 동료가 되는 10가지 단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24일 오후 12:00

 • 

저장 12조회 1,390

댓글 2

함께 읽은 게시물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면서 입소문이 났는지 계속 개설 요청이 이어지네요. 지난 3기가 7월 20일경에 끝났는데 개설 요청으로 인해 8월말에 4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재무재표를 통해 산업과 시장을 읽고, 기업과 사업모델을 파악하고, 나아가 나의 사업

... 더 보기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www.pbr.kr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 더 보기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kr.linkedin.com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

토스 데이터 직군 집중 채용 - 면접만 봐도 100만원!

... 더 보기

토스 DATA·ML 집중채용

toss.im

토스 DATA·ML 집중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