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시스템의 심장, Feature Store 이야기 (1)
Medium
안녕하세요. ML Data Platform 팀에서 서버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Miti입니다!
“머신러닝”, “개인화”, “추천”.
이제는 모두에게 익숙한 단어들일 텐데요. 요즘은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X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머신러닝을 활용한 콘텐츠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 당근도 수년 전부터 유저들이 더 좋아하고 관심 가질 만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추천 시스템을 구축해 왔고, 현재도 계속 고도화해나가고 있어요.
보통 추천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머신러닝 모델이나 딥러닝 알고리즘만을 떠올리곤 하는데요. 추천 시스템에는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핵심 요소가 하나 더 존재해요. 바로 Feature Store라는 플랫폼이죠. Feature Store는 추천 모델과 알고리즘의 추론 과정에 필요한 수많은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요. 모델과 알고리즘이 추천 시스템의 두뇌라면, Feature Store는 추천 시스템의 심장인 셈이죠!
이번 시리즈에서는 Feature Store를 만들게 된 배경과 Feature Store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사용했던 기술들, 그리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하면서 내렸던 여러 가지 의사결정들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이 시리즈는 다음 세 가지 주제에 따라 총 세 개의 글로 나누어 작성할 예정이에요.
In-house Feature Store를 만들게 된 계기와 그 여정.
한계에 다다른 Feature Store, 한계 돌파를 위한 새로운 설계.
더 빠르고, 더 견고한 플랫폼을 위한 여러 가지 최적화 기법들.
첫 번째 파트에서는 Feature Store를 만들게 된 배경과 요구사항 수집, 설계, 개발까지 이르는 전반적인 Feature Store 구축 과정을 이야기하려고 해요. 두 번째 파트에서는 계속 늘어나는 트래픽으로 인해 겪었던 성능적인 한계와 운영 중에 겪었던 기능적인 한계를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한 Feature Platform(Feature Store의 v2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을 다뤄보려고 해요. 마지막 세 번째 파트에서는 Feature Store와 Feature Platform의 성능을 견고하게 개선하기 위해 적용했던 여러 가지 최적화 기법과 의사결정을 소개할 예정이에요.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첫 번째 주제인 Feature Store 개발기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요? 과거로 돌아가 Feature Store를 만들게 된 배경을 가볍게 되짚어 본 다음, In-house Feature Store를 구축해 온 여정을 함께 살펴보도록 합시다!
추천 시스템의 심장, Feature Store를 구축한 여정이 궁금하다면
지금 당근 테크 블로그에서 글 전문을 읽어보세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20일 오전 8:48
이
... 더 보기이
... 더 보기으아~ 드디어 아미고(Ameego) 빅피처 앱스토어 제출! 아직 마무리 작업이 꽤 남았지만 그래도 주말이면 출시 가능할 듯.
서버와 앱쪽 둘 다 기존 구성의 변경이 예상보다 범위가 커서 포상으로(?) 버전을 크게 올렸음.
AI와 코딩할 때, 혹시 결과만 말하고 계신가요?
얼마 전 프로필 페이지를 AI와 함께 만들면서 이상한 걸 발견했어요.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