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개발자가 떠난다면? 버스팩터로 알아보는 프로젝트 지속가능성

최근에 흥미로운 개발 용어를 알게 되었는데요. 바로 '버스팩터(Bus Factor)' 입니다. 버스팩터란 소프트웨어 개발 업계에서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과 리스크를 측정하는 지표인데요. 이 용어는 "만약 핵심 개발자가 갑자기 버스에 치여 프로젝트를 떠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다소 극단적인 가정에서 유래했습니다.


버스팩터는 아래와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1. 낮은 버스팩터 (1~2 명):

    • 프로젝트가 높은 리스크에 노출됨

    • 소수의 핵심 인력에 과도하게 의존

    • 지식 편중으로 인한 병목 현상 발생 가능

  2. 높은 버스팩터:

    •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과 안정성 향상

    • 지식의 균형 있는 분배

    • 팀 전체의 역량 강화


따라서 버스팩터가 너무 낮다면 아래와 같은 개선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1. 지식 공유 강화:

    • 정기적인 기술 공유 세션 개최

    • 내부 위키나 문서화 시스템 구축

  2. 페어 프로그래밍 도입:

    • 두 명의 개발자가 한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

    • 실시간 코드 리뷰와 지식 전파 효과

  3. 교차 훈련(Cross-training):

    • 팀원들이 서로 다른 영역의 업무를 학습하고 경험

    • 다기능 팀(Cross-functional team) 구성

  4. 문서화 개선:

    • 코드, 아키텍처,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 문서 작성

    • 신규 입사자를 위한 온보딩 문서 준비


버스팩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단기적으로는 약간의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팀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발자, 프로젝트 관리자, 그리고 기술 리더들은 버스팩터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더 탄력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2일 오전 12:28

 • 

저장 23조회 3,608

댓글 1

함께 읽은 게시물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7 • 조회 4,629



액터모델을 이용 이벤트소스/클러스터상태관리를 우아하게하기 - 코틀린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PT-5가 출시되면서 Function Calling에 Free-Form Function Calling과 Context-Free Grammar (CFG)를 지원하는데, 이게 숨은 보석이다.


Free-Form은 결과를 JSON이 아니라 SQL, Python script 등의 코드등을 결과로 받거나 XML, CSV 같은 형태로도 받을 수 있다. 다만 plain-text로 주는 형태라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건 예전에도 프롬프트 트릭으로 쓰곤했던거라 그냥 맘이 좀 편해졌다(?)정도.

... 더 보기

제가 쓰고 있는 책의 표지가 나왔어요!

... 더 보기

 • 

댓글 2 • 조회 1,624


🍜 짜파게티가 왜 거기서 나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