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와 Next.js는 유니코드를 지원합니다. 이 말은 변수를 선언할 때 한글을 사용해도 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한글 변수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코드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해서 실제로 사용해 본 적은 한 번도 없었어요. 계속 영어만 사용해오던 관성도 영향이 있었을 거예요.
그러다 최근 데이터를 불러와서 테이블에 보여주는 UI를 개발하면서 한글 변수를 사용해봤어요. 테이블 컬럼명과 동일한 한글 단어를 사용한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API 응답을 파싱해서 이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이었죠.
특히 도메인 관련 용어는 영어 변수로 선언할 경우 뜻이 불명확하거나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 한글 변수로 사용하니 깔끔하고 직관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어요. 서버와 통신하거나, 여러 파일 간 전달되는 값이 아닌 한 파일 내에서만 사용되는 값이기 때문에 더욱 유용했어요.
- 한 곳에서만 관리 및 사용되는 변수
- UI와 가까이 위치한 변수
- 영어로 사용 시 의미가 불분명해지거나 복잡해지는 변수
이제는 위 세 경우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라면 한글 변수 사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게 되었어요.
한글 변수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다른 분들은 한글 변수 사용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지네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2일 오후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