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
youtu.be
제가 처음 메모리 누수를 들여다 본 것은 C#으로 클라이언트를 만들 때 였죠.
C#은 Java 처럼 Gabage Collector에 의해서 사용이 끝난 객체의 회수가 이루어지죠.
하지만 아무리 찾아봐도 메모리를 계속 잡고 있는 부분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Debugger도 사용해보고 여러 글과 Microsoft 문서들을 찾아봤지만 대용량의 이미지를 사용한 후 회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않는다는 결론을 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해당 클라이언트는 MDI 기반에서 건물의 도면을 배경으로 하고 그 위에 각종 설비를 나타내는 개체를 표시했는데 도면 파일인 DWG를 보여주는 라이브러리를 사주지 않아 도면을 고해상도의 이미지로 만들어서 대신 사용했던게 문제였던 것이죠.
사원 임에도 불구하고 클라이언트는 제가 주도하고 있었고 알려줄 사람도 없었기 때문에 더 이상 시간을 들일 수도 없었습니다.
이 글은 간단한 아이디어로 메모리 누수를 찾아내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대신 테스트 코드가 필요하네요.
#직독직해 #medium #ios #swift #memory #leak #memoryleak #test #xctest
https://youtu.be/ALvtDGkBsvc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1월 7일 오후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