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Mind: 초소형 언어 모델을 밑바닥 부터 2시간만에 만들어보자!

최근 흥미로운 오픈소스 프로젝트 MiniMind가 공개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 3 RMB(약 600원)의 비용과 2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으로 작동하는 언어 모델을 처음부터 학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MiniMind의 가장 큰 특징은 그 크기입니다. GPT-3와 비교했을 때 1/7000 수준의 매우 작은 규모로, 일반적인 개인용 GPU로도 학습이 가능합니다. 이는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에 진입장벽을 크게 낮추는 혁신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합니다:


모델 구조

  • Transformer Decoder-Only 구조 채택

  • MoE(Mixture of Experts) 확장 지원

  • 26M에서 145M 파라미터 규모의 다양한 모델 제공


학습 프로세스

  • 사전학습(Pretrain)

  • 지도학습 미세조정(SFT)

  • LoRA 미세조정

  • RLHF-DPO 강화학습

  • 모델 증류(Distillation)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모든 코어 알고리즘이 PyTorch를 사용해 처음부터 구현되었다는 것입니다.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의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아, 언어 모델의 내부 동작을 상세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성능 측면에서도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C-Eval, CMMLU 등의 벤치마크에서 경쟁력 있는 성능을 달성했으며, 기본적인 대화와 질의응답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특히 26M 파라미터의 초소형 모델도 실용적인 성능을 보여주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모델 구현을 넘어 LLM 입문자를 위한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습니다. 상세한 구현 코드와 설명을 통해 언어 모델의 작동 원리를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MiniMind는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이 거대 기업의 전유물이 아님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최소한의 리소스로도 의미 있는 언어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AI 커뮤니티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의 GitHub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시작해볼 수 있도록 상세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jingyaogong/minimind/blob/master/README_en.md


minimind/README_en.md at master · jingyaogong/minimind

GitHub

minimind/README_en.md at master · jingyaogong/minimind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27일 오전 5:55

 • 

저장 12조회 1,98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실서비스에 반영할 기능을 가끔 바이브 코딩만으로 개발 해 보는데, 두어달 전만해도 어려웠던 구현이 이제 벌써 가능해졌다.

    ... 더 보기

    아이디어가 솔루션이 될 수 알 수 없으니

    ... 더 보기

    아이디어 물량공세 | Notion

    eunhocha on Notion

    아이디어 물량공세 | Notion

    서버엔지니어의 시대적 고민

    ... 더 보기

    가짜 프로젝트 유형과 활용방안

    가짜 프로젝트의 일정이 지연되고 품질에 문제가 생겨 PM이 정칙게임의 희생양이 된다면 PM의 성장경로에 치명적일 뿐 아니라 PM의 마음도 견디기 힘들어진다. 진짜 프로젝트에서 마음 맞는 이해관계자들과 열심히 한 결과 프로젝트가 일정이 지연되면 덜 억울한데, 하지 말아야 할 가짜 프로젝트 부실을 책임지는 정치의 희생양이 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 더 보기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