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리스트, 플레이어 코치…이제 작은 팀으로 큰 임팩트 낸다
혼자서 만든 바이브 코딩 도구를 6개월 만에 1160억에 매각한 1인 개발자
과거에는 기업이 성장하면 직원 수도 비례해서 늘어나는 것이 정석이었는데, AI 툴과 오픈 소스 등이 발전하면서 소수 인원으로도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규모의 성과를 낼 수 있게 됐어요.
(감마는 28명의 직원으로 사용자 5000만 명을 보유했고 연간반복매출(이하 ARR, Annual Recurring Revenue)은 약 150억 원 이상 내고 있어요. 애니스피어는 20명의 직원으로, 일레븐랩은 50명의 직원으로, 창업한 지 2년이 채 안 돼 ARR 1억 달러(약 1470억 원)를 달성했습니다.)
그러면 누구를 채용하는 것이 좋을지, 그들과 함께 어떻게 일하면 좋을지가 당장 궁금해집니다. 그 트렌드를 짚어봤어요.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실무진 채용 트렌드
엔지니어 전공자가 아닌 엔지니어의 증가
툴을 잘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수요 증가
제품을 잘 만드는 사람에 대한 수요 증가
관리자 채용 트렌드
플레이어-코치 포지션의 중요성 상승
제너럴리스트의 급부상
IC(Individual Contributor) 채용 증가
조직 문화 트렌드
무의미한 일을 혐오하는 문화
용병(Mercenaries)보다 선교사(Missionaries)를 우대하는 문화
방어적인 태도보다 신뢰를 쌓는 문화
https://eopla.net/magazines/30434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5월 29일 오전 8:54
GPT-5가 출시되면서 Function Calling에 Free-Form Function Calling과 Context-Free Grammar (CFG)를 지원하는데, 이게 숨은 보석이다.
Free-Form은 결과를 JSON이 아니라 SQL, Python script 등의 코드등을 결과로 받거나 XML, CSV 같은 형태로도 받을 수 있다. 다만 plain-text로 주는 형태라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건 예전에도 프롬프트 트릭으로 쓰곤했던거라 그냥 맘이 좀 편해졌다(?)정도.
... 더 보기포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