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패러다임, "무엇을 하자"보다 "무엇을 하지말자"에 주목할 것

『Clean Architecture』의 “FUNCTIONAL PROGRAMMING” 마지막에는

개발 패러다임(패턴)을 어떤 관점으로 학습해야 할지 생각하게 만드는 문장이 있습니다.


“What we have learned over the last half-century is what not to do.”


책에서 설명하는 개발 패러다임은,

협업과 비즈니스 성장을 저해하는 문제 상황을 제거하기 위해

지난 반세기 동안 축적된 엔지니어들의 실전적 노하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개발 패러다임을 공부할 때는

“어떻게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가”보다

“어떤 코드가 어떤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가”를 아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6월 18일 오후 1: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 더 보기

    🍜 짜파게티가 왜 거기서 나와?

    ... 더 보기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

    알아 알아 알아! 🤣

    ... 더 보기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사람들이 요즘 AI, ChatGPT에게 의존하여 사고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두뇌 발달에 안 좋으니, 80년대에 계산기 쓰지마라, 90년대에 컴퓨터 쓰지마라, 2000년대에 엑셀 팡션 쓰지마라, 2010년에 스마트폰 쓰지마라는 말과 같다는 생각이다.


    ... 더 보기

     • 

    저장 7 • 조회 2,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