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즐겨보는 유튜버들을 검증하는 과정이 꽤 까다로운 편이다. 유튜버까지 검증하면서 영상을 봐야하나 싶기도 하겠지만 나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이슈다. 팔로워수와 무관하게 별 시덥지 않은 사람의 영상을 보면서 내 삶을 낭비하는게 싫기 때문이다. 어차피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삶을 낭비할거라면 그래도 괜찮은 사람의 영상을 보는게 낫다고 생각한다. 그 최소한의 조건은 유튜버를 시작할 때나 현재 그 사람의 본업이 있는 사람의 컨텐츠를 선호한다. 침착맨, 주호민, 승우아빠, 슈카, 김성회 등이 이 카테고리에 들어간다. 예외적으로 몇 몇 게임 스트리머나 영화 리뷰 정도를 즐겨보는 편이다. 반대로 자기 원래 직업이 없는데 컨텐츠를 만들기 시작한 경우 솔직히 그렇게 좋은 시각으로 보지는 않는다. 그냥 남에게 관심을 끌기 위해 별짓을 다하는 사람들이라 그 과정에서 대단히 문제가 많은 행동도 서슴없이 할 것 같다는 편견이 있어서다. 더 솔직한 나의 편견은 저런 부류의 대다수는 개인적으로 만나면 상종 못할 가능성이 80% 정도 될 것 같다는 것이다. 어떤 근거도, 경험도 없지만 그냥 그 생태계의 구조를 보고 있으면 그럴 수 밖에 없을 것 같다는게 내 생각이다.

간장게장 사장님의 탄식 "'아님 말고' 유튜버 때문에..." [튜브뉴스]

한국경제

간장게장 사장님의 탄식 "'아님 말고' 유튜버 때문에..." [튜브뉴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2월 20일 오후 3: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688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2 • 조회 2,671


    한 번만 vs 한 번도

    

    ... 더 보기

     • 

    조회 637


    그게 쓸모 없을지라도 일단 제품을 출시했다는 것 자체가 매우 큰 차이가 된다. 로또 확률 0% 와 1%의 차이. 오죽하면 성공한 창업자들이나 VC들의 지겹도록 맨날하는 얘기의 99%가 일단 출시하세요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