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슐랭 가이드의 가장 핵심적인 자산은 (회사 건물 같은 것이 아니라) 아마도 신뢰(credibility)일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미슐랭 가이드는 별의 갯수에 대해서 그다지 자세히 설명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자면 진진이 미슐랭 1스타인데 왜 팔선은 별이 없는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결국 문제는 사람들이 그 별에 얼마나 신뢰를 보내는지일 것입니다. 저는 이 뉴스가 사실인지 아닌지 판단할만한 사실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일반적인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의 수익구조를 생각했을 때, 이런 종류의 뒷거래는 아주 충분한 자본을 갖춘 아주 일부의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이런 제 개인적인 믿음과 별개로 이런 사건 하나가 평판을 파는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합니다. 얼마 있으면 내년 서울 미슐랭 가이드가 발간되는데 어떤 식당들이 몇 개의 별을 받았는지도 궁금하지만, 얼마나 믿어야 하는지도 관전 포인트가 되어버렸습니다.

[탐사K/단독] '미쉐린 별'과 브로커...'뒷돈 거래' 최초 공개

KBS 뉴스

[탐사K/단독] '미쉐린 별'과 브로커...'뒷돈 거래' 최초 공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1월 13일 오후 12: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읽는 사람, 쓰는 사람》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677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포폴 코칭 시 기억에 남는 대화: 페르소나편

    🧑‍💻 멘티: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2 • 조회 2,734


    회사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전달하지 못해, 기술진·실무진이 잘못된 지표를 최적화하거나 가치가 낮은 영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더 보기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cm.asiae.co.kr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