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상품의 안착으로 자신감을 얻은 카카오는 구독으로도 유료화 모델을 넓히고 있다. 카카오는 이달 카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구독 서비스를 내놨다. 월 4900원으로 이모티콘 약 15만 개를 이용할 수 있다. 시범 서비스로 운영 중인 ‘톡서랍’도 구독 상품으로 전환했다. 카톡 채팅방에 올린 각종 사진, 동영상 등을 개인용 클라우드에 보관·관리하는 서비스다." "유료 서비스 증가에 따른 기존 사용자 반감에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국민 메신저라도 노골적인 돈 벌기에 나서면 사용자들이 떠날 수도 있다”며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정밀하게 구현하는 AI 알고리즘으로 유료화에 상응하는 가치를 창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가 드디어 카톡으로 돈을 벌기 시작했다. '돈 버니 달라진 카카오'라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지만, 앞으로 사용자들이 거부감이 들지 않게끔 유료화를 이루어내는 것은 카카오의 숙제.

카톡으로 돈 버니 달라진 카카오...'일부 유료화' 본격 시동

n.news.naver.com

카톡으로 돈 버니 달라진 카카오...'일부 유료화' 본격 시동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5일 오전 1: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