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조원 이커머스 시장... 피 말리는 경쟁> 1/ 2019년 135조원 규모였던 국내 시장 규모가 지난해 150조원을 가뿐히 넘은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도 크지만, 토종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2/ 쿠팡을 위시한 소셜커머스 업체는 물론 롯데·신세계와 같은 기존의 유통 대기업, 그리고 네이버 등 정보기술(IT) 기업까지 경쟁에 불을 붙였다. 여기에 재계 3위 SK그룹의 11번가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과 손을 잡았다.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춘추전국시대가 열린 것이다. 3/ 롯데쇼핑의 시가총액이 약 3.2조원, 이마트가 4.8조원인데 반해 쿠팡의 기업가치는 32조원으로 추정된다. 4/ 진짜 강자는 기술과 자본을 모두 갖춘 네이버다. C2C(소비자 대 소비자 간)형 오픈마켓인 스마트 스토어를 적극적으로 확대했다. 네이버페이를 통한 간편 결제도 강력한 무기다. 여기에 물류업계 1위 CJ대한통운과 주식 교환을 통해 손잡은 것 역시 업계를 긴장시키기 충분하다. 5/ 카카오는 네이버에 비하면 아직 규모는 작다. 2019년 기준 카카오의 e커머스 거래액은 3조원이다. 20조원으로 추정되는 네이버에 비하면 ‘꼬마’다. 하지만 카카오의 매출 대부분은 전자 쿠폰 형태의 ‘선물하기’를 통해 발생한다.

이커머스 절대강자는 없다, 150조원 시장 피말리는 경쟁

Naver

이커머스 절대강자는 없다, 150조원 시장 피말리는 경쟁

2021년 1월 25일 오후 2:10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