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실시간 채팅 협업은 생산성을 저하시키는가?> 재택이 점점 길어지면서 많은 팀들이 동기 커뮤니케이션의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화상으로 회의를 하면서, 동시에 슬랙, MS팀즈, 잔디 같은 실시간 채팅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도 합니다. 여기에 이메일까지 오고, Jira, Confl에는 계속 태깅이 걸리죠. 이렇게 인터럽션을 경험할 수 있는 케이스가 점점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업무 효율이 저하됩니다. 이 글은 hyperinbox라는 서비스의 콘텐츠 마케팅 글입니다. 하지만 Chris Chae님의 문제 의식은 충분히 공감할만한고, hyperinbox가 나오기 전의 해결책에 대해서도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무엇보다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이 글을 가져왔습니다. :)

왜 슬랙은 생산성을 저하시키는가?

Hyperinbox Korea

왜 슬랙은 생산성을 저하시키는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6일 오전 12: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섬세한 취미와 섬세한 정념》

    ... 더 보기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2 • 조회 1,037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2010년에 처음으로 다음 커뮤니케이션에 신입 서비스 기획 직군으로 입사했을 때가 생각나는데요. 그 당시만 해도 "모바일 전담 조직"이 존재할 정도로 모바일 서비스 기획은 별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당시에 세상은 "Mobile First" 또는 "Mobile Only"를 외쳤지만, 모두가 모바일 전문가가 될 필요성은 아직 느끼지 못했던 것이죠.

    ... 더 보기

    PM에게 배우는 생존을 위한 AI 활용 서비스 기획 | 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

    PM에게 배우는 생존을 위한 AI 활용 서비스 기획 | 패스트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