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인간은 포유류 중에서 가장 발달이 덜 된 상태로 태어나 오랜 시간 양육과 돌봄을 필요로 하는 매우 취약한 존재다. 돌봄 받기 위해 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모습만 드러내고 그러지 못할 것 같은 모습들을 내면 깊이 숨긴다. 스스로 생존하고 보호하기 위해 만든 ‘담’들은 외려 자신의 본래 자아를 억압하고, 솔직한 자기 자신으로 세상과 연결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움직임교육연구소 변화의월담은 그렇게 해서 만들어졌다. 월담에서는 단순히 생존 혹은 연명을 넘어 풍요롭고 생기 있는 삶을 살기 위해, 우리가 기대고 보호받고 싶어 쌓은 벽들을 스스로 딛고 올라 넘는 경험과 지혜를 나누는 ‘움직임 교육’(embodied movement education)을 연구하고 실행한다." 신체의 쓸모에 대해 연구하고 우리 몸의 각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기 위해 그 자리에 있고 또 얼마나 많은 것을 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월담. 몸은 보라고 있는 게 아니라 쓰라고 있는 것이다.

[일다] 억압의 벽들을 넘어 '회복하는 몸'의 이야기, 월:담

일다

[일다] 억압의 벽들을 넘어 '회복하는 몸'의 이야기, 월:담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1월 19일 오전 2: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포트폴리오) 내용, 이 순서로 정리하세요!

    데이터 분석가로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많은 커피챗, 포트폴리오 리뷰를 진행하면서 많이 받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포트폴리오에 넣는 프로젝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요? 🧐 포트폴리오 속 프로젝트를 어떻게 정리해야 실력 있는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역량을 드러낼 수 있을까요?!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사람입니다.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하고, 비즈니스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지요. 이러한 핵심 역할을 다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가는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데이터 탐색 및 데이터 추출, 가공 → 데이터 분석 → 결과 내용 정리 및 공유(성과지표 확인) → 액션(가설 확인) 및 피드백을 반영’의 순서로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즉, 포트폴리오 속의 프로젝트도 이런 흐름에 맞추어 정리한다면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사고방식과 역량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1️⃣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어떤 문제상황을 인식했는지 이야기합니다. - 그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어떤 핵심 질문을 만들었고, 어떤 가... 더 보기

     • 

    댓글 4 • 저장 57 • 조회 4,349


    앱 업데이트의 본질을 파헤치고, 기능 개선 인사이트를 찾아보는 모임

    ... 더 보기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update-log on Notion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AI 챗봇 회사 Joi AI가 Z세대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 더 보기



    SSR 최적화

    ... 더 보기

    마이리얼트립 SSR 최적화

    Medium

    마이리얼트립 SSR 최적화

     • 

    저장 48 • 조회 5,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