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 배워야 하고 자기의 배움에 책임져야 한다✨ 미국의 온라인 교육 구독 플랫폼 Masterclass의 창업자 David Rogier의 인터뷰입니다. 배움에 대한 비전과 철학이 참 선명하고 생생합니다. 에듀테크나 러닝 플랫폼 종사자, 넓게는 배움과 성장을 추구하는 모든 분들이 읽어보면 좋을 인터뷰입니다☺️ 📌 우리는 매일 배워야 하고 스스로 자기의 배움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즐길 수 있는 방식으로 배워야 한다. 압박을 느끼며 배우고 싶지 않다. 그 교차점에 엔터테인먼트와 배움이 있다. ✅ Q1. 교육 플랫폼 공간은 처음이 아니다. 마스터클래스 외에도 많은 플랫폼이 있다. 왜 마스터클래스는 잘되고 다른 플랫폼은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하나? 👉교육과 배움이 똑같다고 오해하는 것 같다. 하지만 매우 다르다. 이 영상을 보는 사람에게 배우는 것을 좋아하냐고 물으면 거의 모두 그렇다고 할 것이다. 학교를 좋아하냐고 물으면, 대다수는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당신의 삶에 변화를 준 3명의 교수 혹은 학교 교사가 있다고는 할 것이다. 우리는 교육은 학교가 끝나면 같이 끝난다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는 교육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학교에서 배운 것이 계속 삶에 적용되지 않는다. ✅ Q2. 마스터클래스가 10년 뒤에 어떨지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나? 아니면 다음 6개월동안 어떻게 해야 하는지만 대응하고 아직 멀리 보지는 않나? 👉우리는 내부적으로 100년 계획에 대해 이야기 한다. 나는 장기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좋아한다. 누구나 최고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과거로 돌아가 라이트형제의 클래스를 들을 수 있다고 상상해 보라. 그들이 발견하려는 것 중 80%가 틀렸다하더라도 흥미로울 것이다. 우리의 임무 중 하나는 미래에 존재할 수 있도록 그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나에게 100년 뒤를 생각한다는 것은, 사이트가 어떻게 생기고 어떤 앱을 사용하는 지가 아니고 어떻게 하면 우리가 지구상 모든 가정에 주요 상품이 되는 것인가다. 내 꿈은 누군가가 우리의 수업을 듣고 영감을 받아 다시 돌아와 또 누군가를 가르치는 것이다. ✅ Q3. 30년 뒤, 교육의 운영 방법을 당신이 파괴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현재 존재하는 전통적인 교육을 파괴하려는 마음이 있나?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공간은 엔터테인먼트와 배움의 교차점이다. 치열한 교육은 항상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평생 학교가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 졸업 후, 학교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 학교는 우리가 출석했던 그런 학교가 아니다. 다른 형태다. 시험이나 퀴즈가 없다. 당신이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 뜻은 즐거움이 되돌아 온다는 것이다.

교육 시장의 파괴자: 마스터클래스의 탄생

Themiilk

교육 시장의 파괴자: 마스터클래스의 탄생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5일 오후 11:4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월급 루팡의 최후, SNS때문에 해고당했다!

    ... 더 보기

    AI시대 필요한 요구문서와 협업방법

    ... 더 보기

    Confluence Mobile - WEBNORI

    wiki.webnori.com

    Confluence Mobile - WEBNORI

    < 트레바리 '오디티 빌더스' 클럽에 초대합니다 >

    1

    ... 더 보기

    《쓰기와 참기》

    ... 더 보기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