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롤리데이를 함께 지켜주세요> 안녕하세요. 디자인 스펙트럼 김지홍입니다. 디자인 스펙트럼은 지난 2017년부터 커뮤니티를 통해 많은 디자이너 분들과 디자인 브랜드를 소개해왔습니다. 그리고 오롤리데이는 언젠가는 스펙트럼에 꼭 모시고 싶은 브랜드 중 하나였죠. - 그러다 최근 오롤리데이 박신후 대표님의 포스팅을 통해 '중국에서 오롤리데이를 완전히 똑같이 카피하고 거기에다가 오프라인 매장까지 크게 내고 있다'는 포스팅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기존에도 오롤리데이를 카피한 제품들은 여럿 있었지만 이번처럼 브랜드 전체를 카피한 사례는 처음이라고 합니다. 심지어 해당 중국 업체는 '본인들이 2011년부터 오롤리데이를 만들었다며' 한국의 오롤리데이가 본인들을 도용한 것이라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고 합니다. - 오롤리데이는 2014년에 박신후 대표님이 런칭한 한국의 오리지널 브랜드 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자본과 상표 다수 선점자(브로커)에 의해 국내 소규모 브랜드들이 피해를 본 사례가 워낙 많습니다. 이에 오롤리데이에서는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를 하기로 했습니다. 소송을 진행하기로 한것이죠. - 다만 많은 분들도 아시다시피 소송에는, 그리고 국제 소송에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듭니다. 국내 소규모 브랜드가 이런 비용을 마련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이기에 많은 상표 침해 브로커들이 이런 점을 노리고 있는 것일수도 있지요. 오롤리데이에서는 어떻게든 이에 대응하고 소송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펀딩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 보다 자세한 히스토리 및 현재 상황, 펀딩에 대한 의미는 본 글의 링크에서 상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디자인 스펙트럼은 커뮤니티를 만들어나가면서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환경 개선에도 조금씩 노력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오롤리데이 사건은 단순히 한 브랜드가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여러 브랜드들이 유사한 피해를 입어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제 주변에 계신 수많은 디자이너 분들 및 지인 분들께서 부디 이 상황을 주변에 알려주시고, 가능하신 분들께서는 펀딩에도 참여해주시길 조심스럽게 부탁드립니다. 부디 국내의 수많은 작은 브랜드들을 지키는 일에, 그리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보호에 동참해주세요.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지홍 드림. #오롤리데이 #오롤데를지켜주세요

한국 오리지널 브랜드, 오롤리데이 지키기 프로젝트

와디즈

한국 오리지널 브랜드, 오롤리데이 지키기 프로젝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9일 오전 6: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


    ... 더 보기

    데이터 작업용 Cursor 에디터 - Nao

    d

    ... 더 보기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GeekNews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4,241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