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옛날 글이죠. 하지만 Y Combinator 의 설립자인 폴 그레이엄의 블로그이니 유행에 영향을 덜 받을 겁니다. 이 글을 읽는 분이 개발자 여러분이시라면(디자이너, PM 포함) 더 자주 보셨겠지만, 개발자들을 매니징 하시는 매니저 분이라고 하더라도 아마도 소위 언어의 우월성 논쟁 같은 것을 보신 경험이 있을 겁니다. 이 언어가 더 좋다, 저 언어가 더 좋다, 어쩌구... 폴 그레이엄도 물론 이런 논쟁을 많이 겪었겠죠. 그는 이런 상황에서 "Keep your identity small" 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무슨 뜻일까요? 보통의 언어의 우월성 논쟁은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방향은 소모적이고 의미가 없게 되죠. 논쟁에 Identity, 즉 개인의 감정을 투영하는 순간 이야기는 주제와 상관 없는 곳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매니징을 할 때에도 이 부분을 꼭 기억하세요. 꼭 매니징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논쟁할 때에는 중요한 이야기이지만 매니징을 할 때 더욱 중요합니다. 매니저는 보통 권한이 많고, 나의 Identity 를 투영하더라도 주변 사람이 말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최대한 논쟁할 때에 identity 를 빼세요. 개인의 감정을 빼고 topic 을 보려고 노력하세요. 이 글에서도 나오는 religion, politics 는 인류 역사와 궤를 같이 하는 만큼 이는 더욱 열심히 노력하지 않으면 스멀스멀 나를 잠식해서 identity 에 기반한 정치질을 하고 있게 될겁니다. 심플하지만 명확합니다. Keep your identity small. 기억하고 실천하면 더 나은 방향으로 일을 진행시킬 수 있습니다.

Keep Your Identity Small

paulgraham.com

Keep Your Identity Small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9일 오전 7: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Dependabot을 통한 안전한 의존성 관리

    ... 더 보기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443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08 • 조회 2,939


    《조용한 하루, 퍼펙트 데이》

    ... 더 보기

    📰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AI 챗봇 회사 Joi AI가 Z세대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Z세대의 80%가 AI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4 • 조회 1,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