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자가 말하는 집단 지성을 만들어내는 방법> 1. "지금까지 '집단 지성이 이긴다', '아니다! (탁월한) 개인이 이긴다'를 두고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는데요” 2. “5가지 조건이 있으면, 거의 항상 집단 지성이 승리했습니다” 3. “첫 번째, ‘충분한 다양성’이 있어야 합니다. (똑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어다고 해서 집단 지성이 만들어질 리는 없으니까요) 4.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독립성'입니다. 각자가 ‘내 생각은 이래'라고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건데요. (그렇지 않으면 누군가의 의견에 막연하게 동조하게 되고, 집단 지성은 발휘될 수가 없는 것이죠) 5. “그런 다음, (세 번째로는) 각자가 생각하고 각자 자신의 지식을 교환하는 '분산화', '탈중앙화'가 중요했고요" 6. “(네 번째로) 동시에 (각자의) 아이디어들을 모을 수 있는 ‘집합’의 과정도 중요했습니다" 7. “마지막으로 중요했던 것은 ‘신뢰'라고 해요. 그러니까 집단 지성이 통할 것이라는, (함께 힘을 모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신뢰가 없으면 제대로 된 답이 나올 수가 없다고 해요” 8. "(그리고) 잘 생각해보면, 인간의 뇌의 경우, 인간의 뇌가 진화해서 지능이 (엄청나게) 올라간다든지, 정말 우리가 유전자가 업그레이드된다는지 이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아요. 우리는 지난 수만 년 동안 (뇌과학적으로) 똑같은 생물학적 하드웨어를 가지고 살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엄청난 발전을 이룩했잖아요?" 9. "이 발전을 이룩한 대부분은 사람과 사람이 연결된 ‘집단 지성'에 의해서, 여러 명이 함께 일궈낸 결과라고 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10. "우리는 (항상) 한 명의 천재를 영웅시 하고, 멋있다고 생각하고, 스티브 잡스나 마크 주커버그를 동경하지만, 사실은 '알려진 것이 한 명의 천재일뿐, 그 뒤에는 팀의 능력, 그룹의 능력, 집단 지성의 능력이 매번 함께 했었던 것이 아닌가'라고도 생각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집단지성 VS 천재, 이것만 지키면 집단이 무조건 이긴다?! | 과학 실험, 뇌과학, 나무위키, 위키피디아

www.youtube.com

집단지성 VS 천재, 이것만 지키면 집단이 무조건 이긴다?! | 과학 실험, 뇌과학, 나무위키, 위키피디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3일 오전 6: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단순 비교 말고 영감 얻는 벤치마킹 하려면

    "

    ... 더 보기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Brunch Story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DDD와 AI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