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6z가 새로 문을 연 콘텐츠 미디어를 보고, 가장 최근 업로드한 거로 보이는 글을 공유해봅니다. 마침 마크 안드리센의 글입니다. 카테고리는 '인프라가 전부다'고, 제목은 <기술이 세상을 구한다>입니다. 이 글에서 마크 안드리센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용된 기술을 소개했어요. 우선 백신 개발을 언급했고요. 다음은 원격 의료, 그리고 주요 온라인 서비스들(은행, 보험, 헬스케어 등)이 큰 지체나 문제 없이 운영된 사례를 들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걷잡을 수 없는 경제 대공황을 예견했으나 디지털 서비스들이 잘 운영된 덕분에 막을 수 있었다고 마크 안드리센은 말합니다. 더불어 기업들의 활발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격려했고요. 이외에도 교육,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들이 팬데믹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제 역할을 해냈다고,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곳이 일하는 곳'이라는 현대의 관념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것이 팬데믹 이후 가장 심오한 기술 주도 변화였다면서요. 대도시의 거버넌스가 최선이 아니었음을 목격했고, 이것이 영구적으로 문명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는 사건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팬데믹은 모두의 인생에서 일어난 가장 중요한 경험 중 하나라며, 기술이 세상을 구하는 데 정말 도움이 됐다는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합니다. 장소와 노동의 관계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신석기 시대의 농경, 현대 철도와 도로의 건설까지 마크 안드리센의 말처럼 인간은 노동자의 위치와 일하는 장소 사이를 좁혀왔습니다.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프라와 유틸리티를 빌드했지요. 팬데믹 이후에는 줌(Zoom)을 비롯한 여러 디지털 서비스들이 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업들이 다시 팬데믹 전처럼 원격근무를 하지 않는 방향으로 바꾸고 있다고 하지만, 마크 안드리센은 이미 일어난 변화를 돌이킬 수 없을 거라고 말합니다. 대신 앞으로 몇 년은 지나야 진짜 여파가 몰려올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에 관해서도 그는 역시 낙관하고요. 인터넷 기술이 물리적인 장소와 노동의 경계를 뭉개가면서, 수십억 명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거라고 예상합니다.

Technology Saves the World - Future

Future

Technology Saves the World - Future

2021년 6월 16일 오전 11:1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