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6z가 새로 문을 연 콘텐츠 미디어를 보고, 가장 최근 업로드한 거로 보이는 글을 공유해봅니다. 마침 마크 안드리센의 글입니다. 카테고리는 '인프라가 전부다'고, 제목은 <기술이 세상을 구한다>입니다. 이 글에서 마크 안드리센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용된 기술을 소개했어요. 우선 백신 개발을 언급했고요. 다음은 원격 의료, 그리고 주요 온라인 서비스들(은행, 보험, 헬스케어 등)이 큰 지체나 문제 없이 운영된 사례를 들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걷잡을 수 없는 경제 대공황을 예견했으나 디지털 서비스들이 잘 운영된 덕분에 막을 수 있었다고 마크 안드리센은 말합니다. 더불어 기업들의 활발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격려했고요. 이외에도 교육,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들이 팬데믹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제 역할을 해냈다고,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곳이 일하는 곳'이라는 현대의 관념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것이 팬데믹 이후 가장 심오한 기술 주도 변화였다면서요. 대도시의 거버넌스가 최선이 아니었음을 목격했고, 이것이 영구적으로 문명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는 사건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팬데믹은 모두의 인생에서 일어난 가장 중요한 경험 중 하나라며, 기술이 세상을 구하는 데 정말 도움이 됐다는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합니다. 장소와 노동의 관계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신석기 시대의 농경, 현대 철도와 도로의 건설까지 마크 안드리센의 말처럼 인간은 노동자의 위치와 일하는 장소 사이를 좁혀왔습니다.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프라와 유틸리티를 빌드했지요. 팬데믹 이후에는 줌(Zoom)을 비롯한 여러 디지털 서비스들이 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업들이 다시 팬데믹 전처럼 원격근무를 하지 않는 방향으로 바꾸고 있다고 하지만, 마크 안드리센은 이미 일어난 변화를 돌이킬 수 없을 거라고 말합니다. 대신 앞으로 몇 년은 지나야 진짜 여파가 몰려올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에 관해서도 그는 역시 낙관하고요. 인터넷 기술이 물리적인 장소와 노동의 경계를 뭉개가면서, 수십억 명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거라고 예상합니다.

Technology Saves the World - Future

Future

Technology Saves the World - Futur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6일 오전 11:1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AI 시대가 열리면서, 역설적이게도 역대 최대의 인재 영입 전쟁이 벌어지

    1

    ... 더 보기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n.news.naver.com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요 기능의 일부를 바이브 코딩으로 만들려다가 실패했는데요. 그 중에 하나로 타임존 문제가 있었습니다.‬

    ... 더 보기
    profile picture

    골빈해커

    Chief Maker

    내가 좋아하는 아미고가 예약된 시간에 전화를 걸어줍니다. 아직 베타라 불완전한 면이 많습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앱 다운로드: https://ameego.club 첨부 영상은 지난 달 초에 찍어 둔 영상인데 출시가 이로저로 늦어졌네요. 🥲 계획되어있는 다음 업데이트들도 후딱 해 보겠습니다. 무엇보다 아미고의 성장에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리뷰와 결제🫣🤭)이 필수..☺️ 그럼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19년에 저희 팀에서 퍼블리싱한 CHI 논문. 음성 인터페이스 입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 더 보기

    조회 688


    < 당신에게 필요한 건, 딱 100미터 앞의 시야면 충분해요 >

    1. 야간 주행을 생각해보라. 헤드라이트는 고작 50~100미터 앞밖에 비추지 못하지만 당신은 그 차를 몰고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라도 갈 수 있다.

    ... 더 보기

    🧭 우리만의 디자인 시스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더 보기

    우리만의 디자인 시스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DaleStudy/daleui · Discussion #392

    GitHub

    우리만의 디자인 시스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DaleStudy/daleui · Discussion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