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공클라우드 문턱 넘었다 > 카카오 인공지능(AI)·클라우드 B2B 사업 자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중앙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공공기관용 퍼블릭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자격을 확보했다.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최근 '카카오 i 클라우드' 공공기관용 서비스형인프라(IaaS)에 대한 클라우드보안인증(CSAP)을 취득했다. 해당 인증은 지난 9일 발효됐고 2026년 6월 8일까지 유효하다. 상대적으로 클라우드 시장에 늦게 진입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민간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곧바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안인증을 준비했고, 상대적으로 빠르게 인증을 취득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작년 7월 처음으로 카카오 i 클라우드 브랜드로 클라우드서비스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IaaS보다는 서비스형플랫폼(PaaS) 중심 전략에 초점을 맞춘 모습이었다. 당초 예고대로라면 작년 하반기부터 컨테이너 기반 가상서버 운영자동화 기술 '컨테이너팩', 모바일 앱·서비스 최적화 기술 '애플리케이션 메이커', 카카오의 음성·영상·언어 AI를 활용할 수 있는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등을 갖춘 PaaS 사업에 나서야 했다. 실제로 정식 출시 전 다수의 공공·금융·민간 조직과 손잡고 클라우드·AI 기술 활용 지원에 나섰다. 공식 사업화를 선언해 클라우드 시장에 먼저 진입한 KT, 네이버클라우드, NHN 등과 정면대결하기보다는 서비스경험·초기입지 확보를 우선했다. 작년 클라우드서비스 정식 출시 시기를 올해 상반기로 미뤘지만 올초에는 앞서 인수한 실시간 방송기술 스타트업 리모트몬스터의 기술을 리브랜딩해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라는 클라우드기반 라이브 방송플랫폼 출시를 추진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공클라우드 문턱 넘었다

아주경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공클라우드 문턱 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6일 오후 1: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05


    대기업 전직 임원이 골프장 캐디가 된 이유

    ... 더 보기

    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ㅍㅍㅅㅅ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