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공클라우드 문턱 넘었다 > 카카오 인공지능(AI)·클라우드 B2B 사업 자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중앙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공공기관용 퍼블릭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자격을 확보했다.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최근 '카카오 i 클라우드' 공공기관용 서비스형인프라(IaaS)에 대한 클라우드보안인증(CSAP)을 취득했다. 해당 인증은 지난 9일 발효됐고 2026년 6월 8일까지 유효하다. 상대적으로 클라우드 시장에 늦게 진입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민간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곧바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안인증을 준비했고, 상대적으로 빠르게 인증을 취득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작년 7월 처음으로 카카오 i 클라우드 브랜드로 클라우드서비스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IaaS보다는 서비스형플랫폼(PaaS) 중심 전략에 초점을 맞춘 모습이었다. 당초 예고대로라면 작년 하반기부터 컨테이너 기반 가상서버 운영자동화 기술 '컨테이너팩', 모바일 앱·서비스 최적화 기술 '애플리케이션 메이커', 카카오의 음성·영상·언어 AI를 활용할 수 있는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등을 갖춘 PaaS 사업에 나서야 했다. 실제로 정식 출시 전 다수의 공공·금융·민간 조직과 손잡고 클라우드·AI 기술 활용 지원에 나섰다. 공식 사업화를 선언해 클라우드 시장에 먼저 진입한 KT, 네이버클라우드, NHN 등과 정면대결하기보다는 서비스경험·초기입지 확보를 우선했다. 작년 클라우드서비스 정식 출시 시기를 올해 상반기로 미뤘지만 올초에는 앞서 인수한 실시간 방송기술 스타트업 리모트몬스터의 기술을 리브랜딩해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라는 클라우드기반 라이브 방송플랫폼 출시를 추진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공클라우드 문턱 넘었다

아주경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공클라우드 문턱 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6일 오후 1: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퇴사하고 싶습니다.” 최근 한 기업의 대표님이 가슴 아팠던 직원의 퇴사 이야기를 터놓았습니다. 사실 아직도 퇴사 사유를 정확히 잘 모른다고 합니다. 그 확고함에 어쩔 수 없이 보냈을 뿐. 많은 대표님이 비슷한 경험을 해봤을 것입니다.

    ... 더 보기

    퇴사를 막는 CEO의 올바른 대처 방법 | 티피아이 인사이트,퇴사를 막는 CEO의 올바른 대처 방법

    티피아이 인사이트,티피아이 인사이트

    퇴사를 막는 CEO의 올바른 대처 방법 | 티피아이 인사이트,퇴사를 막는 CEO의 올바른 대처 방법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

    부산지역에서 상장을 준비 중인 기업으로는 삼진식품, 소셜빈,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뉴라이즌 등이 거론된다. 또 최근 통합법인으로 출범한 지역 대표 조선·에너지기자재 기업인 SB선보도 2027년 기업가치 1조원을 목표로 상장을 추진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 더 보기

    코스피3000에 부산 기업 IPO도 훈풍부나? -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코스피3000에 부산 기업 IPO도 훈풍부나? - 헤럴드경제

    조회 220


    지능형 아키텍처

    ... 더 보기

    DDD와 AI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