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16까지 진행중인 커리어에 대한 나의 고민🧘] Career 대해 고민해 보기 위해, 커리어리 습관챌린지를 시작했지만, 여태 NFT 관련 아티클들만 공유하다 보니, 커리어에 대한 고민은 잠시 뒤로 미뤄놨습니다. 그러나 Career에 관한 고민들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사내에서 제공되어 해당 교육을 바탕으로 생각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강사님께서 '커리어'를 '한 개인이 평생에 걸쳐 일과 관련하여 얻게 되는 모든 경험'이라는 한 문장으로 정의하셨습니다. 그렇기에, 좁은 의미의 '커리어'는 직업/직위/이력과 같은 Work Career라고 볼수 있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평생 경험 즉, Life Career로 볼 수 있습니다. 두가지 중 Work Career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저는 1년차가 넘어가다 보니 많은 고민들이 있습니다. 사실 취업 준비 기간에 금융 분야로 커리어를 쌓아 나가고 싶은 막연한 생각은 있었지만, 그 당시 '취업'이 목표였기 때문에 확립된 것은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제가 대학생 때 쌓아온 Career들이 그저 취업을 위한 포트폴리오로써의 역할까지 밖에 못했습니다. 운이 좋게 짧은 취준 기간을 거쳐, 졸업과 동시에 취직을 하게 되었고, 늘 그랬듯이 주어진 환경에 맞추어 목표를 재설정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회사에서 어떤 부서로 발령이 나더라도 괜찮았습니다. 전자소송 홈페이지 운영 업무를 맞게 되었고, 저는 주어진 환경 내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Career를 시작했습니다. 무엇보다도 같이 일하는 선배님들이 잘 이끌어주신 덕분에, 도메인에 맞게 1년동안 많은 성장을 이루어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법률 업무 종사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전자소송'이라는 서비스를 제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비즈니스 적으로 업무를 이해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저는 제가 사용하는 서비스 운영 또는 개발을 하면서, 사용자들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지금 Work Career를 법률과 관련된 도메인 지식들을 더욱 공부하여, 앞으로 유망한 리걸테크의 전문가로 성장해 나갈 지, 아니면 내가 지금 관심있는 서비스회사에서 다른 커리어를 이어나갈 지에 대해 고민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Work Career와 관련된 아티클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6일 오후 3:5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2 • 조회 2,703


    트렌드 강연과 컨설팅할 때마다 이야기해왔던 가장 우려스러웠던 일이 현실화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면서 더 경제규모를 키워낼 거라는 샐럽 미래학자들과 샐럽 기술쟁이들의 기술 찬양은 민망한 일이 되었다. 그들 말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니

    ... 더 보기

    MS 6000명, 메타 3600명… AI가 일으킨 해고 칼바람

    조선일보

    MS 6000명, 메타 3600명… AI가 일으킨 해고 칼바람

    조회 308


    한 명의 리더가 일으키는 기적은 놀랍다. 한국도 많은 리더가 있었다. 그러나 요즘엔 국가의 리더는 별로 안 보이고 나라 안팎에서 구설수에만 오르고 있다. 신뢰와 화합의 리더십은 바닥이다. 인간다운 도리와 설득력, 역량이 없고 마음은 황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더 보기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1코노미뉴스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조회 209


    대기업 상무 연봉 진짜 얼마인지 알려드립니다

    ... 더 보기

    < 당신이 본 것은 현실인가, 개념인가? >

    1. 사물을 개념을 통하지 않고 본다면 결코 싫증 나는 일이 없습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266


    회사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전달하지 못해, 기술진·실무진이 잘못된 지표를 최적화하거나 가치가 낮은 영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더 보기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cm.asiae.co.kr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