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 ✍️]
🏷큐레이터평
ESG라는 단어, 요즘 여기저기서 많이 들리는 말입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투자업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서도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민 300명을 대상으로 한 'ESG 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구매에 영향을 주는지' 묻는 말에 응답자의 63%는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ESG 활동에 부정적인 기업의 제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지' 물음에 70.3%가 '있다'고 답했고, 'ESG 우수기업 제품의 경우 경쟁사 대비 추가 가격을 더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88.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하네요.
-ESG 분야 중 기업들의 대응이 미흡한 분야로는 '지배구조(G)'(41.3%)를 가장 많이 지목됐고, 이어 '환경(E)'(35.0%), '사회(S)'(23.7%) 순
-ESG 분야별로 기업들이 관심을 둬야 할 이슈를 물어본 결과, 환경 분야에서는 '플라스틱 과다사용에 따른 생태계 오염'(36.7%)이 가장 많이 꼽힘
-이어 '기후변화 가속화'(21.0%), '환경호르몬'(19.7%), '미세먼지'(15.0%) 등
사회 분야 이슈로는 '일자리 부족'(31.7%)과 '근로자 인권 및 안전'(31.0%) 문제, 지배구조 이슈로는 '부적절한 경영권 승계'(36.3%)와 '경영진의 모럴해저드'(32.7%) 등이 많이 거론
* 몇몇 분들께서 1:1 메시지를 통해 질문사항을 보내주시곤 합니다. 그중 같이 한번 이야기해 보면 좋겠다 싶은 내용들을 추려서 Q&A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몇 편의 시리즈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우선은 제 생각을 성심성의껏 적어봅니다.
01. 이 질문을 받고 '와 정말 좋은 질문이다'라는 감탄을 했습니다. 저도 과거에 정말 자주 했던 고민이자 지금도 잊을만하면 가끔씩 스스로를 파고드는 물음 중 하나거든요.
특히 질문 자체가 '제가 내는 아이디어에 자신이 없어요'라든가 '기획하는 일 자체가 어렵고 무한한 책임감이...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