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일본 기업들의 해외 M&A 가 1120억 달러 규모에 달하면서 중국을 제치고 2년 연속 아시아에서 가장 큰 M&A 국가가 되었습니다. 원인을 정리하면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국내 시장이 축소되면서 생존 및 매출 성장을 위해 : M&A 뿐만 아니라 현지 직접 투자, 수출 증가 등 일본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거나 매출을 늘리고 있습니다 2)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니즈 : 주주들이 수익성 강화와 자본 효율성을 강조하면서 비핵심 자회사를 처분하고 핵심사업을 보강할 수 있는 M&A 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습니다. 일시적으로는 미-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일본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기가 쉬워진 점도 한 가지 요인으로 추가됩니다. 영문 뉴스 링크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0-01-05/japan-set-to-keep-asia-deals-crown-as-china-ambition-shrinks

일본, 작년 M&A 규모서 중국 제쳐

이투데이

일본, 작년 M&A 규모서 중국 제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8일 오전 8: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트레바리 북클럽, 리서치 하는데요 시즌6⟫

    ... 더 보기

    제3회 전문가네트워킹(온디바이스 AI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모집


    ... 더 보기

    조회 35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