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집에 옷👕이 몇 벌쯤 있을까? 1인당 100벌? 200벌? 500벌? 1,000벌? 1972년 주택건설 촉진법 제정 이래 대략적인 집 크기가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 약 25.7평) 전후로 맞춰져 있는 우리나라 환경에서 의류가 가정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은 결코 적지 않다. 가구 구성원의 수가 많을수록 옷장에서 잠자는 옷들도 비례해서 늘어난다. 사계절이 고루 존재하는 기후 특성상 다양한 옷들을 구비해야 한다. 예컨대 계절별로 입는 옷이 정해져 있다면 약 4분의 3, 봄가을에 같은 옷을 입는다고 가정해도 3분의 2 가량의 옷은 늘 옷장 안에서 잠자고 있는 셈. 그런 측면에서 의류 공유 플랫폼 사업은 '옷장에 입을 옷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들에게 '대여'라는 개념을 통해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줄뿐더러, 의류라는 자원의 사용률을 높임으로써 환경에도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기대해볼 수 있다. 가뜩이나 주거비용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 뼘이나마 공간이 늘어나는 효과는 덤이다. 그러나 아이디어 자체와 아이디어를 현실화시키는 것은 엄연히 다른 것. 유사한 개념으로 출발했던 SK플래닛의 의류 렌털 서비스 '프로젝트앤'은 2016년 출시 후 2년 만에 문을 닫았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윙클로젯, 원투웨어 등 다른 경쟁 스타트업들도 오래 버티지 못하고 차례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기사에서 자세히 다뤄지진 않았으나 '클로젯셰어'도 설립 이후 지난 4년간 사업을 안정화하는데 꽤나 지난한 과정을 겪었을 것이다. '개인 간 의류 공유 플랫폼' 형태로 사업구조를 성공적으로 전환하며 지난 9월 44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클로젯셰어가 해당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며 꾸준히 성장해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오래도록 생존할 수 있어야 하니까.

"당신의 옷장을 공유하라"... 잠자는 옷으로 수익 내고, 환경 보호하고

Digital Chosun

"당신의 옷장을 공유하라"... 잠자는 옷으로 수익 내고, 환경 보호하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14일 오후 9:0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3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 • 조회 1,332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