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리매일읽기챌린지 #퍼블리뷰 #퍼블리뷰4일차 내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숫자들이 사실은 다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니 흥미로워져 술술 읽혔다. 그중 가장 놀라웠던 것은 '정밀도 효과'이다. 정밀도 효과는 인간이 작은 숫자일수록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큰 숫자일수록 반올림이나 내림을 해 10의 배수로 말하는 경향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이 경향에 의해 10의 배수처럼 정확한 숫자는 큰 숫자, 정밀하고 구체적인 숫자는 작은 숫자라고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판매하는 마스크를 '개당 800원'이라고 표현하는 것보다 '개당 812원'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저렴한 마스크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좋다고 한다. 이 정밀도 효과는 어떤 숫자가 더 큰지 바로 비교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효과가 없지만 자사몰처럼 자신들만의 플랫폼에서라면 좋은 전략이라고 한다. 숫자들의 비밀을 알게 된 기분이다.

팔리는 숫자의 비밀: 뇌 속의 '비밀 통로'를 이용하라

publy.co

팔리는 숫자의 비밀: 뇌 속의 '비밀 통로'를 이용하라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8일 오후 2: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전문가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강의

    ... 더 보기


    코프링에서 액터모델 AI연습장

    A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 7살 아이에게 파이썬을 가르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조회 1,048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더 보기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요즘IT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 

    저장 23 • 조회 2,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