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보고서의 지침대로 움직인 뉴욕타임즈의 중간 결말> 1. 2019년 뉴욕타임즈에서 디지털 기반으로 만들어진 연간 매출이 8억달러(약 9500억원)를 초과했다고 한다. 그중 4억달러 이상이 구독료 형태로 만들어졌다. 2. 이제 뉴욕타임즈가 벌어들이는 수익 대부분이 광고 판매가 아니라, 충성 고객의 구독료 형태로 들어오고 있다는 이야기다. 3. 뉴욕타임즈가 변화하자, 수많은 창의적인 디지털 개발자부터 멀티 미디어 프로듀서까지 뉴욕 타임스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4. 그리고 뉴욕타임즈는 이들과 함께 가상 현실(VR)과 같은 최신 디지털 기술을 자신들의 콘텐츠에 담아내는 시도를 끊임없이 펼쳐나가고 있다. 5. 이것이 지금 수많은 사람과 VC들이 1851년에 창간한 뉴욕타임즈를 유니콘 기업처럼 바라보는 이유다.

[Biz Prism] 정론 저널리즘부터 요리앱까지...디지털 뉴욕타임스의 성공 전략 - 매일경제

매일경제

[Biz Prism] 정론 저널리즘부터 요리앱까지...디지털 뉴욕타임스의 성공 전략 - 매일경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2일 오전 12: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55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한때 천만원에 거래되었던 Manus, Bedrock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

    ... 더 보기

    LinkedIn

    lnkd.in

    LinkedIn

     • 

    저장 17 • 조회 1,302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이름 바꿔쓰기

    자아성찰, 혹은 자기 회고를 할 때는 자기 객관화를 하는 것이 좋다. 감정이 개입되어서는 올바른 회고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자기 객관화가 쉽지는 않다. 나를 남처럼 들여다보는 것은 많은 훈련을 거쳐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