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of US honeybee colonies disappeared last year. This is what the world would look like without any bees at all.
Business Insider
미국 꿀벌 개체수가 2018년에만 40%가 줄어들었는데, 식물/꽃의 수분 매개체인 벌이 줄어들면 식물/꽃의 생산량도 줄어들수 밖에 없음. (물론 기술이 발달하며 자연적인 수분 방식을 대체하는 기술들이 등장할수 있겠지만, 그게 꼭 좋으리라는 보장은 없을것이고) 특히 캘리포니아 아몬드의 수분은 100% 꿀벌들에 의해 진행됨. 나비나 새 등이 아몬드는 수분하지 않음. 소의 사료로 쓰이는 알파파나 클로버도 꿀벌 수분에 의존. 면(cotton) 생산량에도 영향을 줌.
2020년 3월 14일 오전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