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을 인수한 '아프리카의 소프트뱅크', 내스퍼스를 아시나요?
Publy
✏️당신을 위한 형광펜 음식 배달 산업은 스마트 기술이 우리를 더 쉽고 빠르고 즐거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훌륭한 예입니다. 도시 인구의 증가, 스마트폰 사용, 중산층 소비, 증가하는 청소년 인구, 모바일 지불 같은 세계적인 추세가 음식 배달 산업의 성장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음식 배달 시장 규모는 3000억 달러 규모로 매년 30%씩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식품 시장 성장 속도의 2~3배에 달합니다. _ 내스퍼스가 투자자들을 위해 작성한 '2019년 사업보고서' 중 일부 👩🏻💻죠과장's 코멘트 배민의 수수료 인상 계획은 자영업자들과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물거품이 되었다. ( △ 관련링크 : https://bit.ly/3b59R0P ) 내 주변만 해도 다수의 스타트업 종사자들이 이같은 정부의 개입에 대해 '기껏해야 지방자치단체인 너희가 어떻게 배민 같이 할 수 있겠냐며' 대부분 조롱하거나 마치 자신이 스스로 당한 일인듯 분개했다. 자신의 부모님, 배우자, 형제자매가 배달을 통해 요식업을 운영하는 점주 였다면 과연 그렇게까지 화가 날 일이었을까 궁금하다. 배달의 민족은 분명 국내 1위 배달 플랫폼이고 요기요와 합병이 확정 될 경우 이와 같은 수수료 인상이나 독과점 형태의 압박은 불보듯 뻔한 일이었고 그 일은 실제로 일어났다. 그럼 앞으로 관련 업계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고 대처 할 것인지 고민하고 준비해야 한다. 프랜차이즈 본부는 더 늦기전에 자체 배달 플랫폼을 구축하려 할 것이고 공공기관은 지역기반의 배달 플랫폼 구축 국가사업을 많이 지원할 것이다. 해당 글에서도 언급된 것 처럼 네이버, 카카오, 페이코와 같이 자본이나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은 이미 언택트 포장/배달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 우리가 시장의 흐름과 같은 대세를 막을 수는 없다. 그렇다면 잘 대비하고 준비하는 수 밖에.
2020년 4월 12일 오전 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