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텐츠의 미래 1️⃣ 통제할 수 없음을 수용하고, 할 수 있는 걸 찾아내면, 미래를 열 수 있어요. 무엇보다 통제할 수 없는 것, 즉 연결을 중심으로 사고해야죠. “연결 관계는 오늘날 디지털과 관련한 모든 비즈니스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예요. 2️⃣ 초연결 시대엔 제품의 질보다 생태계 형성이 더 중요해요. “고객 한 사람 한 사람한테 집중”하기보다 “여러 고객을 한 묶음으로 관리할 때 발생하는 연결 관계에 더 신경 써야”(215p) 합니다. 3️⃣ “성공은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데에서만 오는 게 아니다. 성공은 연결을 만들어 내는 데에서 온다.” 4️⃣ 《이코노미스트》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언론사예요. 부수는 늘어나고, 영업 이익도 몇 배나 증가했어요. 뉴스가 아니라 관점을 팔기 때문이에요. 어떤 큰 사건이 벌어지면 독자들은 기다려요. “그런데 《이코노미스트》는 뭐라고 하지?” 5️⃣ 내가 속한 사업 영역에서 긍정적 연결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을지 생각하고,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연결해 포트폴리오를 적절히 관리하며, 각자의 규모에 따라 독자적으로 사업 영역을 점령하는 일, 이것이 ‘콘텐츠의 미래’예요. 초연결 시대에 모든 사업의 미래이기도 하죠. 🤔 롱블랙이 대신 읽어주고 풀이해준 책 [콘텐츠의 미래]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면 모든 걱이 해결될 거라고 생각하지 마라. 성공은 연결을 만들어내는 데에서 온다!! 🔗 링크는 24시간 동안 비회원도 기사 전문을 볼 수 있는 링크입니다~!

콘텐츠의 미래 : 남을 따라하지 않을 용기를 품어라

LongBlack

콘텐츠의 미래 : 남을 따라하지 않을 용기를 품어라

2022년 1월 10일 오후 11:07

댓글 0

지금 가입하고 개발 트렌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프론트엔드, 백엔드, AI/머신러닝 중 하나를 관심 분야로 선택하면 받아볼 수 있어요.

이메일로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