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모든 업종이 마찬가지겠지만, IT 업계와 디자인 분야도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많은 부분들이 변하고 있습니다. 일전에 해오던 관행들은 그대로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일을 하는데 있어서 수단과 방식을 바꿔야 했고, 왜 이 일을 하는지에 대한 의미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최근 꽤 많은 테크 기업들이 다시금 출근제로 바꾸고 있긴 하지만 전면 재택 권유가 이뤄지는 첫 환경을 경험해보기도 했습니다. 이는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일이죠.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하는 우리들의 모습은 조금 더 진지해지게 되었습니다. 경험해오던 일상과 상상하던 미래가 크게 다르게 될 수도 있다는 인식도 생겼습니다. 초기만 해도 호들갑이라고 이야기하던 사람들도 이젠 그런 이야기를 꺼내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디자인이라는 업으로 보자면, 이런 시점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것이 디자이너라는 정의는 더욱 현실적인 의미로 다가옵니다. 사태에 대응하고 대비책을 마련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동일한 수준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노력하죠. 칼럼에서는 말합니다. "지금은, 과시적인 디자인보다 진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생각해야 할 때이다. 맹목적인 추종이나 지극히 개인적 취향에만 매여 있기보다 프로세스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해야 지속가능한 일상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는 우리는 모두 디자이너다." 프로덕트 디자인에 정확하게 적용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상황이 어려울수록 정말 필요한 것, 즉 근본적인 가치에 대해서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퍼셉션 최소현 대표님의 칼럼입니다.

[CEO 칼럼] 우리는 모두 디자이너다

이투데이

[CEO 칼럼] 우리는 모두 디자이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14일 오전 2: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쓰기와 참기》

    ... 더 보기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CP 이제 정말 써보고 싶지요?

    ... 더 보기

    [MCP] 업무에 유용한 MCP 7종 설치 방법 알아보기 - 골든래빗

    bit.ly

    [MCP] 업무에 유용한 MCP 7종 설치 방법 알아보기 - 골든래빗

     • 

    저장 4 • 조회 159


    데이터 이력서 템플릿 + 작성 가이드를 사용해보세요.

    ... 더 보기